한국 컴퓨터는 여전히 MS·스마트폰은 구글
운영체제와 같은 회사 웹브라우저 사용, OS 잠금효과 발생
국내 인터넷 이용자 대부분은 여전히 마이크로소프트 윈도 운영체제(OS)에서 익스플로러로 인터넷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바일 이용자 대다수는 구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서 크롬을 썼다.
인터넷진흥원(KISA)은 26일 ‘2015년도 상반기 국내 인터넷 이용환경 현황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컴퓨터에선 윈도 OS가 전체에서 97.85%를 차지했다. 이는 지난해 대비 0.09%포인트(P) 오른 것이다.
MS사 웹 브라우저인 IE 사용 역시 0.14%P늘어 87.64%로 나타났다. 크롬 사용 비율은 8.85%였다. 이는 지난해보다 0.44%P 낮아졌다
스마트폰 사용자는 주로 구글 소프트웨어를 사용했다. 모바일 시장에서 1등 OS의 지배력은 PC시장에 비해 낮았다. 안드로이드 OS사용 비율은 84.11%였다. 애플 iOS의 경우 15.82%로 나타났다. 안드로이드 OS는 지난해보다 사용비율이 1.71%P 낮아졌다. 오히려 iOS 비율이 1.73%P늘었다.
모바일 웹 브라우저 비율도 안드로이드가 75.11%로 가장 높았다. 애플 웹 브라우저 사파리는 15.02%를 차지했다.
국내 인터넷 사용자는 사용하는 OS와 같은 회사의 웹브라우저를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명 OS의 잠금효과(Lock-In)다.
인터넷 진흥원 분석에 따르면 OS와 웹 브라우저 간 상관계수는 0.99 이상이었다. 상관계수가 1에 가까울수록 두 대상 간 상관관계가 높다. OS지배력이 웹브라우저로 옮겨지고 있었다.
잠금효과가 가장 높은 OS는 모바일 iOS였다. 스마트폰 접속 수에서 iOS와 애플 웹 브라우저 사파리 사이 상관계수는 94.67%였다.
이번 조사는 인터넷진흥원이 6월 한 달간 진행했다. 데이터는 100대 웹사이트 중 이용자 수가 많은 10개 사이트에서 접속 페이지뷰를 모은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