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 침체’ 광양, 산업위기 대응지역 지정
광양, 생산·수출 대부분 철강에 의존···지역상권 침체 법인세 수입 10분의 1 급감 등 위기 상황에 긴급 지원 2년 간 긴급경영안정자금 등 지원
[시사저널e=노경은 기자] 산업통상부가 철강산업 위기로 어려움을 겪는 전남 광양시를 산업위기 선제 대응지역으로 지정했다.
2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산업부는 전날 산업위기대응심의위원회를 열고 이날부터 2년간 광양을 산업위기 선제 대응지역으로 지정했다. 전남 여수(석유화학)와 충남 서산(석유화학), 경북 포항(철강)에 이어 지역산업위기대응법의 절차에 따른 네 번째 사례다.
광양시는 철강산업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전체 생산의 88.5%, 수출의 97.5%, 고용의 9.7%가 철강산업에 집중돼 있다.
다만 최근 저가 수입재 확대에 따른 단가 하락, 내수 부진 등으로 철강 기업들의 수익이 급감했고, 이는 지역 상권과 재정에도 큰 타격을 줬다. 광양시의 법인지방소득세가 2022년 876억원에서 2023년 78억원으로 10분의 1 수준으로 줄었을 정도다.
정부는 이번 지정을 통해 광양 지역 기업에 최대 10억원 한도의 긴급경영안정자금 대출과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우대 등 금융 지원을 강화한다. 특히 기존 5억원이던 이차보전 한도를 10억원으로 확대하고, 금리 3%포인트를 정부가 지원하는 방식으로 기업 부담을 줄일 계획이다.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만기연장·상환유예, 신용보증기금·기술보증기금의 우대보증 프로그램도 운영된다.
또한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인력양성, 경영자문, 연구개발(R&D) 등도 예산에 반영해 추진될 예정이다. 광양시는 지정 기간 동안 381억원의 보통교부세도 추가로 지원받는다.
이번 조치는 단순한 지역 지원을 넘어 국가 철강산업의 구조적 전환을 위한 신호탄으로 평가된다. 정부는 광양을 저탄소·첨단 철강산업의 거점으로 육성하겠다는 전략을 세우고 있다. 특히 포스코를 중심으로 형성된 철강 클러스터를 기반으로 AI·로봇 자동화, 첨단신소재 기술 개발 등 미래 산업과의 연계를 강화할 방침이다. 노후 산업단지 재생과 지역 상권 활성화, 고용안정 대책도 병행해 지역경제의 회복력을 높이겠다는 계획이다.
이에 지자체에서도 환영의 의사를 전했다. 김영록 전남도시사는 “이번 지정은 글로벌 공급과잉과 내수 부진, 미국 고율 관세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광양 철강산업이 지금의 위기를 극복하고 저탄소·첨단산업으로 새롭게 도약하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 2년간 정부의 집중 지원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중소기업들은 최대 10억원 규모의 긴급경영안정자금을 우대금리로 융자받을 수 있고, 지방투자촉진보조금 국비 보조율도 상향된다”며 “광양시는 보통교부세 381억원을 추가 확보해 지역 재정에 숨통이 트이게 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