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美 FOMC 의사록 공개···“12월 금리동결 의견 다수”
12월 금리동결은 ‘many’ vs 금리인하는 ‘several’로 표현 10월 금리인하 결정했지만 당시에도 동결 의견 적지 않아
[시사저널e=이승용 기자]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이 공개한 10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의사록에서 오는 12월 기준금리를 놓고 인하보다 동결 의견이 더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
20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지난 10월 FOMC 회의 의사록은 미국 현지시간으로 19일 공개됐다.
공개된 의사록은 지난 10월 FOMC 회의에 대해 ”많은(many) 참석자들은 각자의 경제전망에 비춰볼 때 올해 남은 기간 기준금리를 유지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며 ”몇몇(several) 참석자들은 경제 상황이 각자의 예상에 맞게 변화할 경우 12월 기준금리 인하가 적절하다는 의견을 냈다“고 표현했다.
정량적 수식어에 대한 연준의 표현 관례를 감안하면 당시 회의에서 12월 기준금리 결정에 대해 동결 의견을 낸 위원들이 인하 의견을 낸 위원보다 많았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는 셈이다.
10월 FOMC 회의에서는 기준금리를 3.75∼4.00%로 0.25%포인트 인하한 바 있다.
당시 투표권을 가진 12명 위원 중 다수가 0.25%포인트 인하에 찬성했다. 하지만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지명한 스티브 마이런 이사는 0.50%포인트 금리인하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냈고, 제프리 슈미드 캔자스시티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금리 동결 입장을 냈다. 의사록에 따르면 슈미드 총재 외에 몇몇 위원들이 10월 회의 당시 금리 동결이 적절하다는 견해를 내비친 것으로 파악됐다.
오는 12월 기준금리 동결과 인하를 놓고서도 의견이 상당히 엇갈렸던 것으로도 확인됐다. 의사록은 "참석자들은 12월 회의에서 어떤 정책 결정이 가장 적절할지에 대해 매우 다른 관점을 제시했다"라고 표현했다.
반면 10월 회의에서 양적긴축(QT·대차대조표 축소) 중단에 대해서는 대부분 찬성한 것으로 파악됐다. 양적긴축은 연준이 보유 중인 채권을 매각하거나 만기 후 재투자하지 않는 식으로 시중 유동성을 흡수하는 방식으로 중앙은행이 채권을 사들이면서 시중에 통화를 공급하는 양적완화(QE)의 반대 개념이다. 양적긴축 중단은 결국 유동성을 더 이상 줄이지 않겠다는 의미다. 양적긴축은 공식적으로 오는 12월 1일 종료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