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美 연방정부 셧다운 이틀째에도 사상 최고치 경신

뉴욕증시 기술주 강세 주도 테슬라는 세제 혜택 종료 우려로 급락

2025-10-03     최다은 기자
사진=연합뉴스

[시사저널e=최다은 기자] 미 연방정부 셧다운(일시적 업무정지)이 이틀째 이어진 2일(현지시간) 뉴욕증시가 강세를 지속하며 3대 지수 모두 사상 최고치로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78.62포인트(0.17%) 오른 46,519.72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4.15포인트(0.06%) 상승한 6,715.35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88.89포인트(0.39%) 오른 22,844.05에 각각 마감했다. 세 지수 모두 종가 기준으로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시장을 움직일 만한 뚜렷한 재료는 눈에 띄지 않았다. 셧다운 이틀째인 이날 미국 정부의 경기지표도 발표가 지연됐다. 미국 노동부는 주간 신규 실업보험 청구 건수를 이날 발표할 예정이었으나 미뤄졌다. 

투자자들은 과거 사례를 근거로 연방정부 셧다운이 미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라는 낙관론을 유지했다. 셧다운이 단기에 그친다면 미국 경제에 미치는 파장은 크지 않아, 아직은 안전 자산으로 피신할 때가 아니라는 것이 시장의 관측이다. 

그러나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은 CNBC 인터뷰에서 “셧다운이 국내총생산(GDP)에 타격을 줄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특히 고용지표가 약세를 보이는 상황에서 장기화 시 예상치 못한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플랜트 모란 파이낸셜 어드바이저스의 짐 베어드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시장은 최근 수개월간 둔화된 고용지표를 토대로 노동시장의 향후 흐름을 가늠하려고 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날 증시 상승은 반도체 등 기술주가 주도했다. AI 및 반도체 관련주로 구성된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전날에 이어 이틀째 2% 급등했다. AMD가 3.5% 뛰었고, 브로드컴은 1.4%, 메타 플랫폼과 엔비디아가 각각 1.4%, 0.9% 올랐다. 

반면 테슬라는 3분기 차량 인도량이 예상치를 웃돌았음에도 불구하고 미 연방정부의 전기차 세제 혜택 종료 우려로 5.1% 급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