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소매경기 기대감 급등···4년만에 최고

증시호황·소비쿠폰·휴가철 '호재' '정책 최대 수혜' 편의점 경기 기대 '급등'

2025-07-13     유길연 기자
서울 한 편의점 모습 /사진=연합뉴스

[시사저널e=유길연 기자] 올해 3분기 국내 소매유통 기업들의 경기 회복 기대감이 4년 만에 최고치를 찍었다. 

13일 대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3분기 소매유통업 경기전망지수(RBSI)는 102로 직전 분기 대비 27포인트 크게 올랐다. 지난 2021년 3분기(106) 이후 4년 만에 기준치(100)를 넘겼다. 

이 지표는 백화점, 대형마트, 편의점, 슈퍼마켓, 온라인쇼핑 등 500개 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다. RBSI가 100 이상이면 다음 분기 소매유통업 경기를 지난 분기보다 긍정적으로 보는 기업이 많다는 뜻이고 100 미만이면 그 반대다.

대한상의는 소비쿠폰 지급 등 새 정부의 경기부양 정책과 주식시장 상승세의 영향으로 분석했다. 이러한 요인이 여름 휴가철과 맞물려 소비 증가로 이어질 것이란 기대감이 커진 것이란 설명이다. 실제 조사 기업 중 절반 넘게(52.4%) '새 정부 출범이 자사가 속한 업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답했다. 

구체적으로, 편의점은 2분기(71) 대비 37포인트 크게 오른 108을 기록했다. 업태 중 가장 많이 상승했다. 소액 결제가 많고 높은 접근성과 편리성으로 인해 소비쿠폰 이용 가능성이 높아 정부 정책의 직접적인 수혜를 입을 것이란 기대 때문이다. 

온라인쇼핑(105)도 기준치를 넘겼다.  여름철 특수 품목인 여행·레저용품, 항공·숙박 등 계절적 수요가 기대감 상승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슈퍼마켓과 백화점은 기준치인 100이었다. 슈퍼마켓은 고물가에 따른 집밥 선호 현상이 뚜렷한 데다가 편의점과 더불어 소비쿠폰의 주요 사용처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백화점의 경우 주식시장 반등으로 인한 부의 효과가 명품, 고가 패션, 주얼리 등 프리미엄 상품군 매출을 끌어올릴 것으로 예상됐다.  

반면 대형마트(89)는 유일하게 기준치를 밑돌았다. 소비쿠폰을 사용할 수 없으며 온라인 채널, 슈퍼마켓과의 가격경쟁이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관측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