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해외여행·자동차, 아직도 사치인가
국민 중 절반 해외여행 경험에 자동차 보유 여전히 해외여행과 자동차는 사치라는 인식 은연 중 깔려
[시사저널e=박성수 기자] “2868만명, 2630만대”
작년 해외 여행을 목적으로 출국한 한국인 숫자와 국내 등록된 자동차 대수다.
대한민국 인구가 약 5000만명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절반에 달하는 수치다. 여행을 여러 번 가고, 혼자 차를 여러 대 갖고 있는 경우도 있지만, 단순 계산하면 한국인 2명 중 1명은 해외 여행을 갔고, 자동차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세계 최고 수준의 관광 인프라를 보유한 일본이 1시간 거리에 있고, 중국, 동남아 등 인기 여행지들이 지리적으로 가깝기 때문에 한국인들의 해외 여행이 날이 갈수록 늘어나는 추세다.
휴가철을 맞아 여행 계획이 있냐고 물어보면 이제는 국내가 아니라 해외가 당연한 대답이 됐다.
특히 일본은 한국인이 가장 많이 찾는 곳으로, 일본을 방문한 관광객 중 한국인이 압도적인 1위를 차지할 정도로 인기가 높다.
일본 주요 여행지는 어딜 가도 한국어를 볼 수 있어, 해외 여행 1차 관문인 언어도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또한 항공권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현지 물가도 한국보다 오히려 낮은 경우가 많아 비용 부담도 크지 않다.
자동차도 마찬가지다. 집집마다 대부분 차량 1대는 소유하고 있으며, 2대가 있는 가정도 많다.
소득 수준이 오르면서 차급은 갈수록 커지고 있으며, 국산차는 물론 수입차도 이제는 흔하게 볼 수 있는 차량이 됐다.
이처럼 해외 여행과 자동차는 ‘일상’이 됐지만, 일각에선 ‘사치’로 바라보는 시각도 여전하다.
최근 임시공휴일 지정 논란이 있을 때마다, 임시공휴일로 지정해봐야 내수 진작 효과는 없고 해외 가서 돈이나 쓰고 온다는 식의 부정적인 의견도 많다. 사실 해외 여행은 임시공휴일 지정과 상관없이 이미 수개월 전에 예약을 하는 경우가 대다수라, 지정 여부와는 큰 상관 관계가 없는데도 말이다.
자동차도 일종의 사치세인 개별소비세를 부과하고 있다. 자동차가 생활 필수품으로 자리 잡으며 개별소비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주장은 꾸준히 나오고 있지만, 세수 문제 등으로 개소세는 여전히 유지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은 작년 1인당 GNI(국민총소득)가 5000만원을 돌파하며 일본을 제치고 세계 6위를 차지할 정도로 선진국 반열에 올랐다.
서울 평균 집값은 10억원에 달한다.
이런 상황에서 아직도 2000년대 전 잣대를 들이대는 구시대 발상은 사라져야 할 때가 아닌가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