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ESS 시장 ‘LFP 깃발’ 꽂은 LG엔솔···본격 현지 양산 돌입
EV용 라인 빠르게 전환···애리조나 공장 신설보다 2년 앞당겨 북미 현지 생산체제 구축해 관세 영향 無···가격경쟁력 확보 ESS 시장 급성장 대비 ‘선제 대응’ 효과 기대
[시사저널e=정용석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이 미국 내 최초로 에너지저장장치(ESS) 전용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대규모 현지 양산을 시작했다. 기존 전기차용 생산라인을 신속히 전환해 경쟁사보다 빠르게 양산을 시작했고, 이를 통해 급성장하는 북미 ESS 시장 선점에 나선다는 전략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 미시간 홀랜드 공장에서 ESS용 LFP 배터리 양산에 돌입했다고 1일 밝혔다. 글로벌 주요 배터리 업체 중 미국에서 ESS용 LFP 배터리를 본격 생산한 첫 사례다.
이번에 양산하는 제품은 롱셀(Long Cell) 기반의 파우치형 LFP 배터리다. 기존 제품 대비 에너지 효율과 안전성, 가격경쟁력을 모두 갖춘 것이 특징이다. 테라젠, 델타 등 주요 현지 고객사에 공급이 이미 확정된 상태다.
LG에너지솔루션은 당초 미국 애리조나 지역에 신규 ESS용 배터리 공장을 설립해 2026년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었다.
하지만 글로벌 전기차 시장의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과 대외적 불확실성 증가로 인해 투자 효율성을 높이고자 전략적 리밸런싱을 추진했다. 기존 전기차용(EV) 배터리를 생산하던 미시간 홀랜드 공장의 생산라인을 빠르게 ESS용으로 전환해 2년가량 양산 시기를 앞당긴 것이다.
이러한 판단 덕에 현지에서 배터리를 직접 생산함에 따라 관세 영향을 받지 않고 경쟁사 대비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LG에너지솔루션은 ESS 시장이 급성장하는 가운데 전략적 현지 생산 체계를 구축해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친환경 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증가하는 수요에 발 빠르게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리튬이온배터리 ESS 시장은 2023년 185GWh에서 2035년 1232GWh 규모로 6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LG에너지솔루션은 OCI홀딩스와 협력해 텍사스주에서 ESS 사업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최근 OCI홀딩스 미국 자회사인 OCI에너지는 텍사스 최대 에너지 기업 CPS에너지, LG에너지솔루션의 자회사 버테크와 3자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이들은 오는 2026년 말 완공을 앞둔 ‘알라모 시티 ESS LLC’를 시작으로 협력을 확대한다.
협약에 따라 LG에너지솔루션은 OCI에너지에 ESS용 배터리를 공급하고, OCI에너지는 이를 활용해 태양광 발전을 통해 저장한 전력을 CPS에너지에 판매하게 된다.
LG에너지솔루션 관계자는 “현재 북미 지역 다수 고객과 ESS용 배터리 공급 협의를 진행 중”이라며 “앞으로도 최고의 기술력과 빠른 현지 대응을 바탕으로 고객가치 실현에 앞장서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