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상생금융 소비자 혜택 1조1479억원 전망···목표치 41% 집행

금융당국, 상생금융 방안 조기 집행···시스템 체계적 추진 금융권, 고금리 장기화와 경기악화로 차주 부담 덜기 위해 상생금융 잇따라 발표 각종 금융 수수료와 대출금리 인하 및 연체이자율 감면 등 각종 지원책 마련

2023-10-03     김태영 기자
지난 7월 서울 영등포구 굿네이버스에서 열린 우리카드 상생금융 출시 기념 취약계층 후원금 전달 및 소상공인 간담회에서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시사저널e=김태영 기자] 금융권이 고금리와 경기 침체로 어려움을 겪는 취약 대출자를 위해 마련한 상생금융 혜택이 총 1조1479억원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8월 말 기준 41% 해당하는 4700억원이 집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업계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상생금융 방안을 조기에 집행하고 향후에도 체계적·지속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시스템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올해 들어 금융권은 장기화된 고금리와 경기악화로 씨름하는 차주의 고통을 덜기 위해 상생금융 지원책을 잇따라 발표했다. 각종 금융 수수료와 대출 금리를 인하하거나 연체이자율을 감면하고, 원금상환과 채무감면 등을 돕는 방식이다.

업권에 따라 취약계층 대출지원, 저소득층 전용 보험상품, 소상공인 경영컨설팅 등 정성적인 지원책도 함께 마련하고 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연초부터 다수의 은행, 카드, 보험사를 직접 방문하며 대출금리 인하, 2금융권 대환대출, 사회초년생 특화상품 출시 등 금융권의 상생금융 패키지를 이끌어냈다.

업권별 현황을 보면 은행권은 8월말까지 목표치의 46.1%에 해당하는 약 4387억원을 집행했다. 이를 통해 약 174만명의 소비자들이 혜택을 본 것으로 추산된다.

신한·우리·하나은행은 상생금융 전담 조직을 신설해 선제적으로 대안을 마련하고 있고 금융감독원은 상생·협력 금융 신상품 우수 사례를 공모해 시상하는 등 지원 사격에 나섰다. 특히 소비자가 몰라서 이용하지 못하는 사례가 없도록 홍보에 공들이기로 했다. 은행연합회 홈페이지에서는 상생금융 코너를 신설해 주요 상생금융 상품 안내 자료를 제공하고 있으며 당국과 금융권이 함께 상생금융 홍보를 강화할 예정이다.

여전업권은 목표치의 16%에 달하는 313억원을 집행했다. 보험업권은 지난 6월부터 출산준비 가정, 청년, 취약계층 어린이 등을 지원하는 상생보험 상품을 만들어 동참하고 있다.

김주현 금융위원회 위원장은 상생금융의 의미를 설명하면서 "서민 경제의 어려움을 조금이나마 덜어줌으로써 국민과 금융권의 동반성장을 도모하고 차주 연체 및 부실 예방을 통한 자산건전성 관리 효과와 금융회사의 안정적 성장을 지속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는 만큼 상생금융 지원에 적극 나서 달라"고 당부했다.

일각에서는 금융당국의 상생금융 압박을 '관치금융'이라고 비판하고 있지만 금융사들의 사회공헌 활동 강화가 글로벌 스탠다드라는 것이 금융당국의 입장이다. 실제로 영국 금융감독청(FCA)은 지난해부터 금융권에 취약 대출자 지원 강화를 요청하고 있다. 씨티그룹, JP모건 등 미국 유수의 금융회사들도 향후 10년에 걸쳐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지출을 전체 자산의 50% 내외까지 확대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