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츠, IAA 모빌리티 2023에서 ‘콘셉트 CLA 클래스’ 세계 최초 공개

전기차 미래 청사진 제시···“지속가능한 혁신으로 미래 모빌리티 주도”

2023-09-20     정기수 기자

[시사저널e=정기수 기자] 메르세데스-벤츠가 지난 4일(현지시간) 독일 뮌헨에서 개최된 IAA 모빌리티 2023에서 ‘콘셉트 CLA 클래스’를 세계 최초로 공개했다. 콘셉트 CLA 클래스는 벤츠의 모듈형 아키텍처 MMA(Mercedes-Benz Modular Architecture) 플랫폼을 기반으로 설계된 첫 번째 차량이다. 

벤츠 관계자는 “콘셉트 CLA 클래스는 전기차 미래를 위한 청사진과 엔트리 세그먼트에 대한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고, 벤츠가 전동화 및 디지털 시대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를 가늠할 수 있는 모델”이라고 설명했다.

벤츠는 비전 EQXX에 탑재했던 전기 주행을 위한 혁신적인 기술들을 이번 콘셉트 CLA 클래스에도 계승했다. 이에 따라 콘셉트 CLA 클래스는 동급 세그먼트 중 최대 수준인 1회 충전 예상 주행거리 750 km(WLTP 기준) 및 12kWh/100km라는 에너지 소비 효율을 지녔다. 

또 고출력 250 kW DC 충전이 가능하며, 15분 충전 만에 최대 400km 주행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특히 벤츠가 자체적으로 개발한 차세대 전기 구동 유닛 MB.EDU는 장거리 주행 시 시스템 전반에 걸쳐 전력 손실을 세심하게 최소화해 배터리에서 휠까지 최대 93%에 이르는 높은 에너지 효율을 발휘한다. MB.EDU의 영구 자석 동기식 모터(PSM, permanently excited synchronous motors)는 이전 세대보다 중희토류 함량이 현저히 낮아져 거의 0%에 수렴한다. 배터리의 경우, 새로운 MMA 플랫폼 기반 전기 구동 시스템이 탄소 중립 제조에 크게 기여했다. 배터리뿐만 아니라 양극재 생산에서도 탄소 중립을 40%까지 달성했다. 

콘셉트 CLA 클래스. / 사진=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

콘셉트 CLA 클래스 인테리어는 대나무 소재 섬유로 짜인 바닥 매트, 식물성 염료를 사용해 정교하게 가공된 나파 가죽, 비건 인증을 받은 원단으로 마감된 도어 포켓, 재활용 PET로 제작된 플로팅 센터 암레스트 등으로 친환경성을 강조했다.

벤츠 코리아 관계자는 “오는 2039년까지 기술 개발부터 원자재 추출, 생산, 사용, 재활용에 이르기까지 전체 밸류 체인과 차량 수명 주기에 걸쳐 모든 신차를 탄소중립으로 만드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라며 “지속가능 전략 ‘엠비션 2039(Ambition 2039)’를 향해 달려가는 길목에 출시된 콘셉트 CLA 클래스는 단순한 전기차가 아닌 혁신과 지속가능에 대한 메르세데스-벤츠의 노력을 보여주는 결과로, 탄소 중립이라는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핵심 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콘셉트 CLA 클래스는 내년 말 양산할 계획이다.

콘셉트 CLA 클래스 인테리어. / 사진=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

한편, 벤츠는 오는 2030년까지 시장 여건이 허락되는 한 모든 신차를 전기차로 전환하겠다는 목표를 세운바 있다. EQA부터 EQS SUV까지 폭넓은 순수 전기차 포트폴리오를 제공하고 있으며, 지난해에는 1회 충전으로 1200km를 달릴 수 있는 콘셉트 전기차 ‘비전 EQXX’를 선보였다. 올해는 브랜드 내 최고급 브랜드 마이바흐의 첫 순수 전기차 ‘메르세데스-마이바흐 EQS SUV’를 공개했다.

생산 네트워크에서도 시장수요에 따라 전기차 전용 생산에 맞게 전환하며 생산량을 빠르게 늘리고 있다. 유연한 제조 방식과 최첨단 MO360 생산 시스템 구축을 통해 이미 순수 전기차를 대량 생산할 채비를 갖췄다는 게 벤츠 측 설명이다. 현재 3개 대륙 7개 지역에서 8종의 벤츠 전기차가 생산되고 있다. 지난 2분기 순수전기차(BEV) 글로벌 판매는 전년 동기 대비 2배 이상 증가했다.

벤츠는 2022년부터 2030년까지 총 400억 유로 규모의 대대적인 투자를 진행하고 전기차 아키텍처 및 차세대 배터리 개발, 새로운 충전 시스템 및 인프라 구축, 전기차 생산 네트워크 확장 등 다양한 방면으로 노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지난 8월 한국에 방문한 올라 칼레니우스 메르세데스-벤츠 그룹 이사회 의장은 고출력 충전 네트워크(HPC, High-Power Charging Network)에 대한 투자에 대해 설명한 바 있으며, 국내에도 구축할 것이라는 계획을 밝히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