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대통령, 추석 연휴에 日원폭 피해 동포 한국 초청···78년만 처음
대통령실 “한국의 명절과 발전한 고국 모습 보여줄 것” ‘윤석열 정부 신설’ 재외동포청 주도···한일관계 정상화 연장선
[시사저널e=주재한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오는 추석 연휴 일본에 거주 중인 히로시마 원자폭탄 피해 동포들을 한국에 초청한다.
2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추석 연휴(9월28일~10월1일) 원폭 피해 재일동포들을 정부 차원에서 공식 초정했다. 대통령실은 “원폭 피해자분들께 한국의 명절을 느끼게 해드리고 발전한 고국의 모습을 보여드리기 위해 정부에서 공식 초청하는 것이다”고 밝혔다.
초청 대상에는 재일동포 2세인 전직 프로야구 선수 장훈 등이 거론되고 있다. 윤 대통령의 ‘추석 초청’이 실현되면 히로시마에 거주하던 한국인 원폭 피해자들과 그 후손들은 78년 만에 처음으로 대한민국 정부의 조력을 받으며 고국 땅을 밟게 된다.
앞서 윤 대통령은 지난 5월 히로시마에서 열린 주요7개국(G7) 정상회의 참석을 계기로 기시다 후미오 총리와 함께 한국인 원폭 희생자 위령비에 참배하고 한국인 피해자 동포들과 면담했다.
이 자리에서 윤 대통령은 “오랜만에 고국에 와서 모국이 그동안 얼마나 변하고 발전했는지 꼭 한번 가까운 시일 내에 보시길 바란다”며 “제가 초청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윤 대통령은 한국으로 돌아와 국무회의에서 “이분들을 조만간 고국에 초청해 위로의 시간을 갖게 해 드리고자 한다”고 했다.
원폭 피해자들의 한국 방문은 지난 6월 출범한 재외동포청이 주도할 것으로 전해졌다. 윤 대통령은 재외동포청 출범식에서도 “원폭 피해 동포들을 초청해 조금이나마 위안을 드리고자 한다”며 “전 세계에 어디에 계시든 우리 동포의 아픔을 보듬는 것이 국가의 책무”라고 말했다.
재외동포청은 730만명에 달하는 재외동포 정책을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시행할 수 있도록 현 정부 들어 정부조직법 개정을 통해 외교부 산하에 신설된 조직이다. 대통령의 공약이자 국정 과제로 신속하게 신설됐다.
정부는 지난해 10월 외교부의 재외동포 정책 기능과 재외동포재단의 사업 기능을 합친 재외동포청 신설을 발표했다. 지난 4월 재외동포 정책의 기본 목표와 방향을 담은 재외동포기본법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법적 근거가 마련돼 설립에 탄력을 받게 됐다.
본청은 인천, 지원센터는 서울 광화문에 마련됐다. 영사 등 민원서비스와 함께 과거 재외동포재단이 수행하던 재외동포 교류협력과 차세대 동포 교육 등의 업무도 함께 맡는다. 이기철 초대 재외동포청장은 외교부 조약국장과 주네덜란드 대사, 주LA 총영사 등을 역임했고, 퇴임 뒤 2018년 5월부터 유니세프 한국위원회 사무총장으로 활동한 직업 외교관이다.
재외동포청이 출범 직후 원폭 피해자를 초청하려는 것은 윤석열 정부가 기울여 온 한일관계 정상화 노력의 연장선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