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자율주행 트럭 화물 운송 첫 발···“연비 15% 향상 기대, 설치비용 1000만원”
정부, 유인 자율주행 화물 운송서비스 실증 시작 트럭자율주행, 자동화 쉽지만 차량제어 어려운 특성 시스템 안정성 갖춰야 운전자 피로도 높아지지 않아 업체 “AI로 연비개선, 35만km 달리며 사고 없어” “세계 자율주행 시장 선점시 일자리 창출 기회될 것”
[시사저널e=최성근 기자] 자율주행 트럭이 국내 주요 간선도로를 누비기 시작했다. 정부가 법적 제약에 막힌 국내 자율주행 기술에 특례를 부여하며 이달부터 국내 첫 유상 화물운송 서비스가 진행된다. 유통, 물류업계의 운송 시스템 변화에 관심이 쏠리는 가운데 운전자 피로도를 줄일 시스템 안정성 확보가 사업 성패를 가를 변수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16일 산업통상자원부는 서울 서초구 마스오토 본사에서 정부가 특례를 부여한 유인 자율주행 기반 화물 간선 운송 서비스에 대한 업체의 실증계획과 사업비전을 확인했다.
마스오토는 인공지능 기반 트럭용 자율주행 시스템인 ‘마스파일럿’을 개발한 스타트업이다. 마스파일럿은 지정된 조건에서 자율주행하고, 시스템 요청시 수동운전으로 전환되는 조건부 자동화(레벨3 자율주행) 솔루션으로 7대의 카메라와 소형 컴퓨터, 액추에이터로 구성돼 있다.
AI기반으로 도로와 운전자 상태를 인식·판단해 차량을 제어하고 위험상황이 발생하면 관제센터와 시스템이 운전자에 경고를 보내 차량제어 권한이 수동으로 전환한다.
마스오토 관계자는 “고정된 노선에 자율 주행 트럭을 배차하고 물류창고에서 고객 화물을 싣고 운송하게 된다”며 “물류센터-물류센터 간 운송 시장은 거리가 400km 이상이고 고속도로 중심이라 자동화가 매우 용이한 반면 대형트럭은 굉장히 크고 무겁기에 고속도로에서 차량제어가 상당히 어렵다”고 말했다. 자동화는 용이하지만 차량 제어가 어려운 특성을 가진 차량이란 설명이다.
이어 “가격은 1000만원 가량으로 일반 트럭을 개조해 네트워크가 설치된다”며 “차량 내부에 3대 좌우측에 각각 2대 등 총 카메라 7대로 비전 중심의 기술을 구현했다. 저전력 컴퓨터로 경량화된 컨셉트로 소프트웨어를 구성했다”고 덧붙였다.
인공지능을 통해 연비를 개선했으며 주행시 안전성도 갖췄단 설명이다. 업체 관계자는 “운전을 잘하는 분들의 운전습관을 머신러닝으로 학습해 연비를 최적화하는 주행을 하고 있다”며 “ 카메라를 사용하고 있어 레이저를 쏘는 것보다 조도의 변화나 기상 변화에 좀 더 잘 대응할 수 있다. 밤에 안개나 악천후가 있어도 보는데 큰 지장이 없다”고 말했다.
이어 “카메라를 차 밖에 설치했을 때 눈이 너무 많이 오면 카메라를 가릴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그래서 전방 카메라들은 차 안에 설치해 운행하고 있다. 앞에 눈이나 비가 오면 닦을 수 있게 했다”고 덧붙였다.
주행 중 돌발상황에는 AI를 기반으로 대응한다. 예를들어 주행 중 옆차가 끼어들면 어떤 식으로 대응하라고 규칙을 넣어주진 않는다. 사람이 운전하는 데이터를 수집, 머신러닝 모델에 넣고 사람이 예외상황에서 어떻게 대응했는지를 데이터를 갖고 학습한다. 이것을 시스템도 반영할 수 있도록 개발하고 있다. 업체 측은 “그동안 35만km를 시험 주행하면서 사고 한 번 없었다”며 안전성을 자신했다.
시스템 설치는 비교적 간단하지만, 트럭이 전자식이 아닌 경우 추가 설치가 필요하다. 업체 관계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가 차량을 제어하려면 전자식으로 핸들과 브레이크가 조정돼야 하는데 지금 상용트럭은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다”며 “이때는 핸들, 브레이크 조작을 위해 따로 모터를 설치해야 한다”고 말했다.
업체 측은 유통, 물류업계 전반을 사업 타깃으로 보고 있다. 실제 복수의 업체가 적극적 관심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상용화까지 가장 중요한 과제는 소프트웨어 안정성이란 분석이다. 업체 관계자는 “유인 자율주행에서 중요한 것은 연비를 개선하고 운전자 피로도를 줄이는 것”이라며 “연비 개선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자동으로 할 수 있지만 시스템이 불안정하면 운전자 피로도가 더 높아진다”고 말했다. 이어 “아직 우리 시스템이 운전자가 눈감고 아무것도 안해도 되는 정도까지는 아니다. 소프트웨어가 운전을 하더라도 운전자가 집중할 필요가 있고, 실제 안에도 카메라를 설치해 운전자가 집중하는지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이번 실증이 성공적으로 추진되면 자율주행 경쟁력을 강화할 추적기록을 확보하고 근로자 안전과 복지, 연료비 절감에도 긍정적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한다.
이민우 산업부 산업기술융합정책관은 “화물 운송 구간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간선도로에서 조작 없이 차량을 운행할 수 있게 돼 근로자 복지 향상에 기여하고 자율주행을 통해 약 15%의 연비 향상을 실현한다면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개별 기업을 넘어 자율주행 분야의 정책 수립을 위해서도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자율주행 트럭 기술의 발전이 화물운송종사자 일자리를 빼앗는 쪽으로 흘러가진 않을 것이란 관측이다. 이 정책관은 “운전자 없이 바로 주행 가능한 기술들이 나오기 위해선 시간이 많이 필요할 것”이라며 “당장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어 “장기적으로 보면 우리나라가 2021년부터 생산가능 인구가 줄어드는 시기로 진입했다. 트럭 운전 같은 경우도 운전자가 굉장히 부족한 시대가 올 수밖에 없기에 미리 대비해야 한다”며 “일자리가 없어지는 게 아니라 자율주행 기술이 발전하고 이 시장을 우리가 세계시장을 선점하면 자율주행 분야에서 더 많은 일자리들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