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용 문제 시달렸던 씨에스윈드, IRA 등에 업고 반전 노린다

미국 공장 증설로 3000억원 규모 수혜 예상 포르투갈 공장 인수···EU '넷제로 산업법' 대응체계 갖춰

2023-01-26     정용석 기자
/사진=씨에스윈드

[시사저널e=정용석 기자] 지난해 지지부진한 성과를 냈던 풍력발전 업계가 올해 들어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시행으로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국내보다는 해외 시장을 중심으로 사업을 펼쳐온 세계 풍력타워 1위 업체 씨에스윈드가 집중 수혜를 받을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인플레이션과 운송비 등 비용 증가로 힘에 부치는 한 해를 보냈지만 최근 인플레이션이 둔화하는 모양새를 보이며 기대감이 더해지고 있다.

◇풍력발전 등 신재생에너지, IRA 수혜 

26일 씨에스윈드는 미국 베스타스(Vestas American Wind Technology)와 풍력타워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올해 들어 미국 베스타스와 2번째 공급계약이다. 두 계약의 총 계약금액은 1096억5464만원으로 이는 연결기준 2021년 말 매출액의 9.5%에 해당한다. 베스타스는 풍력터빈 시장 점유율 1위 기업이다.

씨에스윈드의 연이은 공급계약 배경에는 미국 IRA가 있다. IRA는 투자세액공제(ITC·Investment Tax Credit)와 생산세액공제(AMPC·Advanced Manufacturing Production Credit)를 주요 내용으로 한다.

이번 공급계약은 IRA의 간접적 수혜로 풀이된다. 풍력발전 설치 규모가 증가하면서 관련 수주도 늘어난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 내 공장을 둔 글로벌 디벨로퍼의 발주량 증가로 부품업계 또한 수혜를 받게 될 것"이라며 "3월 IRA 시행규칙이 나오면 발주 규모가 더욱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풍력발전업계는 지난해 암초가 됐던 비용 증가 문제를 IRA 등 정책에 따른 보조금으로 극복하고 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국제유가가 급등했고 물류난이 이어지면서 미국 내 신재생 에너지 사업은 차질을 겪어 왔다. 이에 증권가들도 씨에스윈드의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을 컨센서스보다 낮게 전망하기도 했다. 

신재생 에너지 수요도 증가 추세라는 점도 호재다. 바이든 행정부는 2030년까지 30GW 규모의 해상풍력 발전소를 만든다는 목표를 내놨다. 연간 풍력발전 신규 설치 규모도 올해 0.9GW에서 2025년엔 2.8GW로 증가할 전망이다. 

미국 콜로라도주 푸에블로에 위치한 베스타스 타워 공장. /사진=씨에스윈드

◇현지 공장 인수, IRA·넷제로 산업법 모두 대비

씨에스윈드는 IRA 법안의 직접적 수혜도 받을 수 있다. IRA 법안 통과 이전인 2021년 인수한 미국 콜로라도 풍력타워 공장 덕분이다. IRA는 풍력터빈, 풍력타워 등 미국 내 제조설비투자 업체에 10년간 세금 공제 및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생산세액공제는 와트당 3센트 수준이다. 현재 생산 규모인 4기가와트(GW)로 환산하면 한화 1500억원 규모의 보조금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IRA법안 통과 후에는 추가 증설을 추진하고 있다. 신규 공장은 미국 콜로라도 공장 부지 내에 2만㎡ 규모로 지어진다. 현재는 증설과 관련된 인·허가 절차를 진행 중이다. 씨에스윈드 관계자는 "올해 1분기 안에 계획을 확정하고 첫 삽을 뜨게 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증설을 하게 되면 생산량이 2배 정도 증가해 생산세액공제액도 2배가량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했다.

포르투갈 공장 인수로 유럽연합(EU)의 '탄소중립산업법(Net-Zero Industry Act·넷제로 산업법)'에도 대응체계를 갖췄다는 평가다. 씨에스윈드는 2021년 EU 회원국인 포르투갈의 풍력타워·해상타워 하부구조물생산기업 ASM사를 인수하고 해상풍력타워 생산라인을 증설 중이다. 넷제로 산업법의 세부 내용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으나 풍력발전 등 재생에너지 부문에 보조금 등을 지급하는 방안이 담길 것으로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EU의 넷제로 산업법도 미국 IRA와 마찬가지로 현지 생산공장을 보유한 기업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전망한다. 한병화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EU의 탄소중립산업법도 IRA처럼 역내 생산에 차별 지원하는 정책이 담길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