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시속 64km 충돌한 ‘아이오닉5’···배터리 이상 無

아이오닉5, 미국 IIHS 기준에 맞춰서 충돌시험 진행···64km/h로 100톤 물체에 충돌 전면부 파손됐지만 배터리 손상은 없어···E-GMP 적용 모델 최우수 TSP+ 등급 획득 현대차 “1개 차종당 3000번의 가상 시뮬레이션과 100회 충돌시험 진행”

2023-01-15     유주엽 기자
경기도 화성시 현대차 남양연구소에서 아이오닉5 충돌시험이 진행됐다. / 사진=현대차

[시사저널e=유주엽 기자] 잊을만하면 전기차 화재 이슈가 불거진다. 안전 검증이 부족하다는 지적과 함께 전기차 이용에 대한 두려움이 커지고 있다. 아직까진 전기차 이용은 시기상조라는 말도 들린다.

지난 12일 현대자동차는 전기차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한 충돌평가 테스트를 진행했다. 이번 충돌 테스트는 경기도 화성시 남양연구소 안전시험동에서 이뤄졌다. 테스트엔 현대차그룹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가 적용된 아이오닉5가 이용됐다.

시험은 시속 64km로 100톤(t)에 달하는 물체에 전면부 40% 부위를 충돌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전면부 40%만 충돌하는 방식은 무게 분산이 골고루 이뤄지지 않아, 차량의 정중앙을 충돌하는 것보다 더 큰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충돌시험은 미국 IIHS(Insurance Institute for Highway Safety·미국 고속도로 안전보험 협회) 평가 기준에 맞춰 진행됐다. 차량엔 머리·목·흉부·복부·골반·하지 등의 상해를 정밀 분석하기 위한 두 개의 더미(센서가 부착된 인간모형)가 탑승했다. 운전석엔 성인 남성용 더미가, 운전석 뒷자리엔 여성용 더미가 착석했다. 정면충돌 시험엔 157개의 센서가 부착된 더미 ‘쏘오(THOR)’가 이용됐다.

센서가 부착된 인간 모형의 더미. / 사진=현대차

준비가 완료되자 시험장 내 안전 벨이 울렸다. 곧이어 아이오닉5 모습을 드러냈다. 아이오닉5는 시속 64km로 질주하며 그대로 100톤짜리 벽면에 부딪혔다. ‘쾅’하는 소리가 시험장 안에 울려 퍼졌다. 아이오닉5는 에어백이 터진 채 뒤로 튕겨 나갔다.

아이오닉5 전면부는 크게 파손됐다. 가까이서 확인해보니 분홍색 냉각수가 조금씩 새어 나오고 있었다. 보닛은 위로 젖혀졌고 전면부 유리창엔 금이 가 있었다. 전면부 40% 부위를 충돌한지라 운전석 앞부분이 주로 훼손됐다. 

그러나 실내 대시보드부턴 별다른 이상이 없었다. 운전석 디스플레이 역시 손상되지 않았다. 더미 역시 멀쩡했다. 운전석에 탑승한 더미의 발목이 조금 꺾여있는 것을 제외하곤 처음 탑승한 자세 그대로 앉아 있었다.

연기나 화재 역시 발생하지 않았다. 강력한 충격에도 하단부에 설치된 배터리엔 손상이 없었다. 

전면부가 훼손된 아이오닉5. 전면부 40% 부위를 충돌해 한쪽이 크게 훼손됐다. 바닥엔 흘러나온 냉각수가 있다. / 사진=현대차

백창인 현대차 통합안전개발실 상무는 “E-GMP 적용 모델은 배터리 장착 부위의 손상이 없도록 구조적으로 대응하고 있다”며 “정면 충돌을 대비해 범퍼를 부착하고 관성에 의해 배터리가 이탈하지 않도록 구성했다”고 말했다.

이어 “측면 충돌을 대비해선 사이드 실을 개발했고, 후방충돌을 대비해선 엔진룸과 유사한 서브 프레임 구조를 개발 적용했다”며 “EV6, GV60, 아이오닉6 등 다른 E-GMP 적용 모델 모두 마찬가지다”고 전했다.

현대차그룹에 따르면 E-GMP가 적용된 아이오닉5, EV6, GV60는 모두 IIHS에서 최우수 등급인 TSP+(Top Safety Pick Plus)를 받았다. 아이오닉6는 심사를 마치고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백 상무는 “충돌시험 전 수퍼 컴퓨터를 이용해 버추얼 시뮬레이션을 3000회가량 실시하고, 이후엔 100회의 충돌시험을 진행한다”며 “한 개 차종당 충돌 안전 개발을 위해 100억여원이 소요된다”고 말했다.

기자들의 질의를 받고 있는 현대차 관계자들. / 사진=현대차

다만, 충돌시험과 관련해 몇 가지 질의 및 지적이 나오기도 했다.

우선은 E-GMP 적용 모델이 아닌 코나, 니로 등 전기차 모델의 안전성에 대한 질문이 나왔다. 이에 대해 현대차 관계자는 “E-GMP 적용 모델이 아니어도 충분한 시험을 거치고 있다”며 “기본적으로는 전기차 화재 발생 비율이 내연기관차의 화재 발생 비율보다 낮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난해 소방청 자료에 따르면 등록대수 대비 화재 발생 비율은 내연기관차가 0.018%, 전기차가 0.01%로 전기차가 절반 가까이 낮다”고 덧붙였다.

이후엔 연석이나 방지턱 등 하단부 배터리에 충격이 가해질 수 있는 환경에선 테스트가 이뤄지지 않느냐는 지적이 나왔다.

해당 지적과 관련해 현대차 관계자는 “철길이라든지 바닥에 긁힐 수 있는 상황을 대비해 일련의 시험 과정을 표준으로 도입해 진행하고 있다”며 “이 외에도 과속방지턱을 빠른 속도로 뛰어넘는 시험을 통해 예상치 못한 데미지가 있는지 검사하고 있다”고 답했다.

훼손된 아이오닉5를 관람하는 기자.들 / 사진=현대차

이 외 시속 64km 이상의 상황에선 E-GMP 모델에도 배터리에 손상이 갈 수 있는지, 어느 정도 파손돼야 화재로 이어지는지에 대한 질문이 나왔다.

이에 대해 현대차 관계자는 “100km/h 이상의 상황에선 배터리를 100% 보호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며 “이러한 상황까지 고려해 차량을 보강하려면 차체를 만들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화재 안전에 대해 극복하기 어려운 부분도 있지만 어떻게든 지금보다 안전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향후엔 플랫폼 개발을 통해 100km/h 이상 초고속 충돌과 관련해서도 엔지니어링적으로 고도화된 기술을 적용할 예정이다”고 전했다.

또 다른 현대차 관계자는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원인과 사양은 다양해 획일적으로 말하기 어려운데, 배터리가 손상됐다고 무조건 화재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며 “경우에 따라선 배터리가 20~40% 변형돼도 화재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충돌시험과 관련해 현대차는 내수 모델과 수출 모델의 차이가 없다고 강조했다. 백 상무는 “각국의 교통시스템 및 교통법규에 따라 미세한 차이가 있을 순 있지만, 기본적으로 내수차와 수출차 모두 동일한 골격구조로 생산되고 있다”고 밝혔다.

아이오닉5가 100톤 물체에 충돌하는 장면 / 사진=현대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