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저신용 대출 목표 달성 앞둔 인터넷은행 3사···건전성 문제 없나
무리한 중·저신용 대출 비중 확대, 부실 위험 촉발 가능성 부실 위험 큰 개인사업자대출 증가···리스크 관리 숙제 연체율 증가 추세···취약차주 이자부담 늘어나면서 건전성 악화 우려 "신용 리스크 불가피한 부분···자체 역량 키워 부실 위험 최소화할 것"
[시사저널e=김태영 기자] 인터넷전문은행들이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비중이 일제히 상승하면서 연말 목표치 달성이 임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와 같은 추세라면 연말까지 각 사별 설정한 목표치에 무난히 도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최근 시중은행들이 리스크 관리 필요성을 강조하며 상대적으로 위험이 큰 개인신용대출의 문턱을 높인 것과 달리 인터넷전문은행의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 확대는 부실 위험의 촉발제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목표치 달성을 위해 무리하게 중·저신용자 대출을 확대할 경우 향후 건전성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각 인터넷전문은행의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비중을 보면 9월 말 카카오뱅크는 23.2%, 케이뱅크는 24.7%, 토스뱅크는 39.0%로 집계됐다. 지난 6월 말과 비교하면 카카오뱅크는 1%포인트, 케이뱅크는 0.7%포인트, 토스뱅크는 2.7%포인트 비중이 확대됐다.
앞서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는 올해 말까지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비중을 25%로 토스뱅크는 42% 수준으로 늘리겠다는 목표치를 제시했다.
아직 연말까지 시간이 남았지만 제시한 수치에 근접하면서 목표 달성의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는 분위기다. 3분기 내 공급한 대출 규모는 이미 지난해 수치를 넘어섰다. 카카오뱅크가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중·저신용 고객에게 공급한 무보증 신용대출 규모는 2조1147억원으로 지난해 공급한 1조7000원을 돌파했다.
케이뱅크가 올해 3분기까지 공급한 중·저신용 신용대출 규모는 1조5992억원으로 지난해 공급한 대출 규모(7510억원)의 2배를 돌파했다. 올해 1월 대출 영업을 정상화 한 토스뱅크의 중·저신용 대출 규모는 총 2조7000억원이다.
지난해 모두 목표치에 미달해 인터넷은행 설립 취지에 맞지 않는다는 비판을 받은 만큼 3사 모두 올해는 가파른 대출 성장세를 바탕으로 연말 목표치 이상으로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을 관리하겠다는 입장이다.
문제는 최근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대출 금리 상승으로 인해 이자 부담이 심화하면서 중·저신용자 부실 위험도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 인터넷은행의 핵심 대출 상품은 주택담보대출과 개인사업자대출인데 해당 상품의 대출 총량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특히 개인사업자대출의 부실 위험은 확대되고 있는 추세다. 나이스평가정보에 따르면 올 6월 말 금융권 자영업자 대출 총잔액은 1051조원 규모로 지난 연말(963조원)과 비교해 약 100조원이 늘었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지속된 금리 인상과 경기 둔화에 따른 소비 침체 등 요인으로 자영업자의 연간 이자부담액이 지난 9월 13조9000억원에서 내년 말 19조1000억원으로 약 37%가량 오를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금리인상기 취약차주 이자부담이 늘어나면서 건전성 관리가 주요 이슈로 거론되고 있다. 카카오뱅크 연체율은 지난해 말 0.22%에서 올해 3분기 0.36%로 0.14%포인트 올랐다.
케이뱅크는 지난해 말 0.41%였던 연체율은 3분기 0.67%로 0.26%포인트 뛰었다.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평균 연체율 0.24%(8월 기준)와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악화됐다. 올해 막 대출 영업을 재개한 토스뱅크의 6월 말 기준 1개월 이상 연체율은 0.15%였다. 지난 1분기(0.04%)에 비하면 크게 오른 수치다.
업계 관계자는 "위험 부담이 큰 개인사업자대출의 리스크 관리는 여전히 과제로 남아 있다"며 "시중은행 대비 중·저신용자 고객 비중과 연체율이 높은 특성상 부실 위험에 더 쉽게 노출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고 말했다.
이에 인터넷전문은행들은 자체 신용평가시스템(CSS) 강화 등 리스크 관리 역량을 확보해 대응하겠다는 입장이다. 한 인터넷전문은행 관계자는 "중·저신용자 비중을 지속적으로 늘려왔기 때문에 신용 리스크에 대한 우려는 불가피한 부분이라고 생각한다"며 "자체 신용평가 시스템과 모니터링 기술을 고도화해 부실 위험을 최소화하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