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기준금리 인상폭 더 커지나···“내년 초 5%까지 도달 가능성도”

"지속적인 금리 인상에 경기후퇴 피할 수 없을 것"···공포감 확산

2022-10-15     최다은 기자
사진=연합뉴스

[시사저널e=최다은 기자] 미 연방준비제도(이하 연준·Fed)가 내년 초 기준금리를 5%까지 인상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연준의 지속적인 금리 인상에 글로벌 경기후퇴 우려도 커지고 있다.

13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과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전망치(8.1%)를 웃도는 8.2%로 발표되면서 미 금리선물 시장 가격에 반영된 내년 초 기준금리 예상치 수준이 4.75∼5%로 높아졌다.

당초 지난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공개한 점도표(연준 위원들의 향후 금리 전망을 보여주는 도표)상 연준의 기준금리 전망치(중간값)는 올해 말 4.4%, 내년 말 4.6%이었다.

미 금리선물 시장 참가자들에 따르면 연준이 내년 기준금리를 5% 이상으로 올릴 확률도 35%에 이른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이에 따라 연준의 공격적인 금리 인상이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다음 달 3회 연속 자이언트스텝(0.75%포인트 금리 인상)을 단행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시장은 올해 말까지 연준이 4.5∼4.75%까지 금리를 올린 뒤 내년 3월에는 4.85% 수준에서 유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앞서 연준은 지난달까지 금리를 3차례 0.75%포인트씩 인상해 금리 상단을 3.25%까지 올린 바 있다.

연준은 1980년대 초 이후 처음으로 공격적으로 금리를 인상하고 있다. 1994년 이후 올해 6월까지 연준은 금리를 단 한 번도 0.75%포인트 인상한 적이 없었다.

연준 관계자들 사이에서는 심각한 경기침체를 피하려면 금리 인상 속도를 조절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다만 이번 CPI 발표 이후 이 같은 의견은 힘을 잃을 것으로 보인다.

연준의 지속적인 금리 인상에 경기후퇴를 막을 수는 없을 것이란 우려가 업계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다. 주거비와 임금 등의 압박으로 인해 금리 인상으로 유발되는 경기후퇴를 피해갈 수 있는 가능성 마저 사라질 것이란 예상이다.

투자은행 제프리스의 수석 금융 이코노미스트인 아네타 마코스카는 노동력·주택 부족으로 인해 근원 물가상승률이 약 4% 이상으로 유지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물가가 그 아래로 내려가려면 상당한 노동시장 약화라는 대가가 따를 것이고 이는 피할 수 없는 경기후퇴로 이어질 것”이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