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4%대 예금 등장···조달비용 부담에도 ‘울며 겨자먹기’ 금리 인상
주요 저축은행 수신금리 줄줄이 인상···예금금리 4% 넘어서 저축銀, 자금조달 수단 한정적···수신금리 인상시 조달비용 부담↑ 법정 최고금리 인하로 대출금리 인상 어려워···예대마진 축소 불가피
[시사저널e=김희진 기자] 기준금리 인상 기조와 함께 예대금리차 공시 시행 등의 영향으로 은행권의 수신금리 인상 속도가 가파르다. 저축은행 역시 이에 질세라 수신 경쟁력 확보를 위해 금리를 올리면서 최근에는 4%대 이상의 고금리 예금까지 등장했지만 한편으론 조달 비용 부담으로 고민이 깊어지는 모습이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날 JT저축은행은 비대면 회전식정기예금 금리를 최대 0.06%포인트 인상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저축은행 모바일 앱 ‘SB톡톡 플러스’를 통해 JT저축은행의 비대면 회전식정기예금을 가입하는 고객은 최대 연 4.2%의 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다. 비대면 일반 정기예금 금리도 12개월 만기 기준 연 3.9%의 금리를 적용해 기존보다 0.4%포인트 인상했다.
OK저축은행도 지난 28일 약정 기간 1년을 채우면 우대금리를 제공하는 ‘OK e-플러스정기예금’ 상품의 우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했다. 이번 우대금리 인상에 따라 해당 상품의 금리는 기본금리 연 3.0%에 약정기간인 1년 만기 해지 시 우대금리 1.25%포인트를 더해 최고 연 4.25%가 적용된다.
상상인저축은행과 상상인플러스저축은행 역시 수신금리를 인상하면서 주요 예금상품의 금리가 4% 이상으로 올라섰다. 회전정기예금상품의 경우 업계 최고 수준인 최대 연 4.21%의 금리가 제공된다. 정기예금 상품의 금리도 상향돼 12개월 이상의 경우 최대 연 4.01%, 24개월 만기 기준으로는 연 4.11%의 금리 혜택을 받을 수 있다.
DB저축은행도 최근 예금금리를 0.2%포인트 인상했다. 이에 따라 대표 예금상품인 3년 만기 ‘드림빅 정기예금’ 금리는 모바일 가입 시 연 4.05%, 창구 가입 시 연 3.95%로 올랐다.
저축은행들이 이처럼 앞다퉈 예금금리를 인상하고 나선 이유는 시중은행의 수신금리가 저축은행의 뒤를 바짝 쫓으면서다. 기준금리 인상 기조와 함께 8월부터 금융당국의 예대금리차 공시가 시작되면서 은행들은 ‘이자장사’ 오명을 벗기 위해 수신금리 인상에 주력하고 있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지난 9월 말 기준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개 시중은행의 1년 만기 정기예금 평균금리는 3.52%로 전월 말(3.03%) 대비 0.49%포인트 올랐다. 저축은행 역시 평균금리가 올랐으나 3.56%에서 3.86%로 0.3%포인트 인상하며 은행 대비 상승폭이 작았다. 이로써 은행과 저축은행의 예금금리 격차 역시 같은 기간 0.53%포인트에서 0.34%포인트로 줄어들었다.
저축은행은 고객 확보와 자금 이탈 방지를 위해서 계속해서 수신금리를 올릴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지만 부담스러운 기색이 역력하다. 저축은행의 경우 이미 시중은행 대비 높은 수신금리를 제공하고 있어 추가 금리 인상 여력이 부족하다. 또한 예·적금 외에 낮은 금리로 은행채를 발행하는 등 자금 조달 수단이 다양한 시중은행과 달리 저축은행은 자금 조달 수단이 예·적금으로 한정적이라 수신금리를 인상할 경우 비용 부담이 더 클 수밖에 없다.
아울러 지난해 7월 법정 최고금리가 기존 연 24%에서 연 20%로 인하됨에 따라 수신금리 인상 폭만큼 대출 금리를 올릴 수도 없는 상황이라 저축은행은 예대마진 축소가 불가피하다.
저축은행 업계 관계자는 “기준금리 인상으로 시중은행과 인터넷전문은행에서도 수신금리를 올리면서 저축은행과 금리 차이가 점점 좁아지고 있다”며 “수신금리 차이가 줄어들면 저축은행의 자금이 시중은행이나 인터넷은행 쪽으로 빠져나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금리를 올리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법정 최고금리 제도로 대출금리 상한선이 정해져 있는 상황에서 수신금리가 계속 오르고 있어 예대마진 폭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며 “은행은 수신금리를 올린만큼 대출 금리를 올릴 수 있어서 저축은행보다 예대마진 축소 폭이 적지만 저축은행은 주 고객층이 중·저신용자들이라 이미 대출 상품의 금리가 높기 때문에 대출금리를 더 올리기가 쉽지 않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