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6.1 지방선거' 경선 여론조사 대포폰 동원 조작 있었다

기초자치단체장 경선캠프 참여한 작업원 녹취 확보 투넘버 대포폰, 여론조사 조직적 조작 정황 포착

2022-08-07     유재철 기자

[시사저널e=유재철 기자] 지난 6월 1일 치러진 전국동시지방선거 기초자치단체장 특정 선거 캠프에서 수백대의 대포폰을 동원해 여론조사를 조작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그간 경선 응답자의 주소를 속이는 등으로 여론조사 조작을 시도하는 사례는 있었지만, 대포폰이 동원된 사실이 드러난 건 이번이 처음이다.

7일 <시사저널e>는 올해 열린 지방선거 기초자치단체장 선거캠프에 참여한 소위 ‘작업원’ A씨의 제보를 통해 조직적인 여론조사 조작이 있었다는 의혹을 확인했다.(취재원 보호를 위해 A씨가 참여한 후보의 정당 이름, 지역 등은 밝히지 않는다.)

A씨에 따르면, 선거캠프가 여론을 조작하는 과정은 매우 은밀하고 조직적으로 진행됐다. 경선 지역에서 해당 후보의 주목도를 높이기 위해 여러 방법을 사용했는데 그 중 하나가 대포폰이었다.

특이한 점은 해당 대포폰들은 대부분 ‘투넘버 서비스’에 가입했다는 것이다. 하나의 폰으로 2개의 번호가 여론조사에 참여하도록 설계했다. 이 대포폰은 또 각종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올라간 후보 게시물에 복수의 ‘좋아요’를 누르거나 댓글을 쓰는 용도로도 사용됐다.

A씨는 “경선기간 동안 이런 식으로 작업해서 실제 당선이 가장 유력한 후보와 비견될 정도로 인지도가 올라왔다”면서 “경선 2~3달 전부터 (대포폰을)준비한다. 경선 기간에는 02(서울지역번호)나 이 곳 지역번호 외엔 일체 전화를 받지 않는다. 경선이 끝나면 모두 일괄 해지한다”고 말했다.

6.1 지방선거 기초자치단체장 경선 여론조사 조작에 사용된 대포폰.

 

통신업계에 따르면, 대포폰의 경우 휴대폰 대리점이 개입하지 않으면 이런 작업 자체가 불가능하다. 실제로 A씨는 경선 기간에만 사용하는 용도로 지역 특정 대리점과 짜고 휴대폰(대포폰) 개통을 한다고 했다. 선거캠프와 결탁한 이같은 대리점 존재 여부는 후보를 제외하고 캠프 수뇌부 한 두명만 알고 있다고 전했다.

통신대리점 한 관계자는 “수백대의 대포폰을 일괄 개통했다는 것은 선거캠프와 작업하는 대리점이 분명히 있다는 것”이라면서 “해당 기간 대리점은 휴대폰 개통에 따른 리베이트 등의 수익을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간 지방선거 경선 여론조사는 각종 잡음으로 도마에 올랐었다. 휴대폰 요금청구서 주소를 조작해 여론조사에 참여한다거나, 특정후보에 불리하도록 설문조사를 유도하는 방식 등이다.

참여연대 한 관계자는 “여론조사 업체가 (특정후보에) 유리한 방식으로 여론조사를 한다는 얘기는 들었지만, 이렇게 조직적으로 대포폰이 동원돼 여론조사에 개입한다는 것은 몰랐다”고 말했다.

선거관리위원회는 올해 치른 ‘6.1 지방선거’ 당 경선의 경우 후보자 등록, 여론조사, 선거인단 등 모든 선거 관리 자체를 당에서 맡았다고 밝혔다.

선거관리위원회 관계자는 “당에서 선거 관리 위탁을 요청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번 지방선거 경선은 모두 각 당에세 관리했다”면서 “만약 불법요소가 있었다면 경찰에서 수사해야 할 사안”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