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전역 수(水)세권으로”···‘오세훈표’ 지천 개발 속도
수변감성도시 사업, 시범대상지 설계 용역 마무리 이달 용역 업체 선정···연말 공사 착수·내년 상반기 완공 시의회 국민의힘 재편···“예산 확보 수월, 사업 탄력 예상”
[시사저널e=길해성 기자] 오세훈 서울시장이 시정 핵심과제로 내세운 ‘서울형 수변감성도시’ 사업이 속도를 내고 있다. 서울시는 최근 시범사업지로 선정된 정릉천∙홍제천∙도림천 3곳에 대한 설계 용역을 마감하고 업체 선정에 착수했다. 서울 전역 지천 주변을 ‘수(水)세권’으로 만들겠다는 오 시장의 구상이 본격화되는 모양새다.
8일 서울시 등에 따르면 서울시는 최근 서울형 수변감성도시 시범사업 대상지 3곳에서 ▲정릉천 복합문화공간 조성 ▲도림천 상권 활성화를 위한 수변 인프라 조성 ▲홍제천 역사문화공간 조성 등에 대한 기본 및 실시설계 용역을 발주했다. 이달 안으로 업체를 선정하고 연말 공사에 착수한다는 계획이다. 내년 상반기 완공이 목표다. 이 밖에도 하천 회복을 위한 수자원 활용계획 수립과 하천시설물 디자인 개선을 위한 용역도 마무리 단계에 있다.
서울형 수변감성도시 사업은 서울 전역에 흐르는 332㎞의 실개천과 소하천 등 수변을 중심으로 공간구조를 재편하는 프로젝트다. 오 시장이 시정 마스터플랜인 ‘서울비전 2030’에서 핵심과제로 제시한 ‘지천 르네상스’의 바뀐 사업명이기도 하다. 서울시는 이번 사업을 통해 문화, 경제, 일상휴식 등 다양한 야외활동이 가능하도록 시민들의 생활공간을 바꿔 지역경제 활성화와 균형발전까지 도모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100억원을 투입해 시범사업(90억원)과 관련 용역(10억원)을 진행하고 있다.
오 시장은 지난 4월 28일 홍제천 인공폭포 현장을 찾아 “서울의 332㎞ 물길을 활용해 역세권 못지않은 수(水)세권이라는 고부가가치 공간을 만들 수 있다”며 “서울형 수변감성도시 사업을 홍제천, 도림천, 정릉천에서 본격화한다”고 밝혔다.
시범 사업지로 선정된 도림천·정릉천·홍제천(상·중류) 3곳은 지역 특성에 맞게 수변 명소로 조성될 예정이다. 도림천은 수변 활성화를 통한 지역 경제 회복을 목표로 추진된다. 서울시시는 도로 구조를 재배치하고 데크 설치 등을 통해 시민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수변 테라스와 쉼터를 조성할 계획이다. 시장에서 먹거리를 사서 수변으로 넘어와 여유롭게 음식을 먹으면서 공연 등 다양한 문화활동을 즐기거나 피크닉을 할 수 있다는 게 서울시의 설명이다.
정릉천은 하천 상부에 유휴공간으로 방치된 복개구조물을 스포츠·문화 등 다양한 활동이 가능한 복합문화공간으로 재탄생 된다. ‘도심 속 문화캔버스’를 콘셉트로 상부에는 생활·액션 스포츠, 휴식 및 교류가 가능한 액티비티존과 힐링·커뮤니티존이 들어선다. 어둡고 외졌던 하부는 미디어아트가 결합된 디지털 감성존이 조성될 예정이다.
홍제천은 주변 수변 암반 경관과 지역의 대표적인 역사자원인 홍지문·탕춘대성(서울시 유형문화재 제33호)을 연계해 감성적인 야경과 역사∙휴식 등이 공존하는 공간으로 명소화를 추진한다. 홍제천 중류 인공폭포 주변에는 ‘1호 수변 노천카페’가 조성된다. 노천카페는 이르면 올해 8월이면 볼 수 있다.
서울시는 시범사업에 이어 2030년까지 더 큰 규모의 권역 단위의 ‘공공친수지구’를 중랑천, 안양천, 홍제천 등 5개소에 조성할 계획이다. 소하천 등 동네 하천에는 수변테라스 카페 등 수변쉼터 30여곳을 조성한다.
수변감성도시 사업은 최근 서울시의회가 국민의힘 중심으로 재편되며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동안 민주당 소속 의원이 장악한 시의회의 반대로 예산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다. 하지만 지방선거를 통해 시의회 112석 중 76석을 국민의힘이 차지하면서 숨통이 트이게 됐다. 서울시 정책·예산·조례 등을 심의·의결하는 막강한 권한을 가진 시의회 주도권을 국민의힘이 가져감에 따라 같은 당 소속 오 시장의 시정 추진에 힘이 실릴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시 관계자는 “현재 서울형 수변감성도시 사업을 위한 용역들이 수월하게 진행되고 있다”며 “오는 8~9월 홍제천 인공폭포 수변 노천카페를 시작으로 내년 상반기 중 시범사업의 결과물이 하나 둘 나올 전망이다”고 말했다. 이어 “시범사업이 끝나면 다른 지역에 대한 후속 작업을 시작할 계획이다”며 “서울시의회의 기류가 바뀐 만큼 안정적인 예산 확보도 가능해져 사업이 더욱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