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지역화폐사업 공략 속도전···'지역 커뮤니티 플랫폼' 구축 목표
7일 고양시와 ‘탄소지움카드’ 운영 시작···시민 탄소 절감 활동 유도 연말 지역화폐 결합···향후 모바일 시민증 등 기능 추가·통합플랫폼 운영
[시사저널e=김용수 기자] KT가 고양시와 함께 시민들의 탄소절감 활동을 유도하기 위한 ‘탄소지움카드’를 출시했다. 향후 KT는 탄소지움카드를 지역화폐를 비롯해 복지시설 이용, 모바일 시민증 등 기능을 추가한 지역 커뮤니티 플랫폼으로 확장해나갈 계획이다.
7일 KT는 서울 종로구 광화문 KT기자실에서 기자설명회를 열고 고양시와 함께 ‘고양 탄소지움카드’를 운영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고양 탄소지움카드는 대중교통 이용, 로컬 푸드 구입 등 탄소 저감 활동에 참여한 고양시민들에게 포인트를 적립해주는 플랫폼이다. 지역화폐가 소상공인 및 지역 경제 활성화에 방점을 뒀다면 탄소지움카드는 시민들의 탄소절감활동을 유도하는 것이 핵심이다.
예컨대 고양시민이 탄소지움카드를 통해 버스를 이용하면 대중교통요금을 포인트로 적립해준다. 성인 기준 매주 최대 2900포인트를 적립 받을 수 있다. 한달 기준 1만1600포인트를 받는 셈이다. 하반기부턴 청소년을 대상으로도 주 1회 2000원 상당의 포인트가 지급될 예정이다. 고양시가 올해 책정한 관련 예산은 28억원 규모다.
이밖에 기후·환경 교육에 참여하거나 고양시 내 20여개 로컬푸드 매장에서 탄소지움카드를 사용하는 시민 또는 공동주택 거주자에게도 포인트가 지급된다. 적립된 포인트는 대형 마트를 제외한 NH농협 가맹점과 고양시 관내 4만3000여 고양페이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다.
KT는 이번 사업에서 ‘탄소지움 디지털 통합 플랫폼’을 구축 및 운영한다. KT는 포인트 제도와 가맹점 현황을 관리하며 기후 환경 교육·온라인 나눔 마켓 등 탄소 저감 인센티브 사업을 추진한다.
KT는 고양 탄소지움카드 플랫폼 운영을 기반으로, 연내에는 고양시 지역화폐인 ‘고양페이’도 플랫폼에 통합할 계획이다. 현재 해당 지역화폐는 코나아이가 운영 중으로, 현재 발급 규모는 57만장 수준이다. 고양시는 내년까지 발급건수를 75만장 이상으로 키울 계획이다.
김세룡 KT 고양법인지사 북부법인고객1담당 팀장은 “코나아이가 운영 중인 경기 지역화폐는 단순 선불카드 기능밖에 없다. 반면 탄소지움은 교통카드, 체크카드 등 기능이 포함돼 있다”며 “연말쯤에는 고양페이를 KT 플랫폼이 수용할 수 있도록 시와 협의를 마쳤다”고 설명했다.
특히 연말로 예정된 상당수 지자체의 지역화폐사업 수주전에도 뛰어들 예정이다. 현재 KT는 울산·세종·공주·김포·익산·칠곡·구미 등 7개 지자체 지역화폐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김우헌 KT AI·DX융합사업부문 블록체인비즈센터 차장은 “현재 지역화폐를 운영 중인 지자체 상당수가 올해로 계약이 종료될 예정이다. 지자체에선 그 시점에 맞춰 입찰을 띄울 것”이라며 “KT도 사업을 노릴 예정”이라고 말했다.
궁극적으로 KT는 지역화폐, 모바일 시민증 발급, 투표, 복지시설 및 도서관 이용 등 지역 커뮤니티 기반 서비스를 한곳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통합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
김 차장은 “지역화폐는 계속 유지된다는 전제 하에 지역화폐와 함께 고양시 사례를 필두로 지역 커뮤니티 기반 서비스가 많이 나타날 것으로 보고 있다”며 “그런 부분을 찾아내 IT 기술을 적용한 플랫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게 장기적인 계획이다. 결국 지역 커뮤니티를 통해 지역화폐, 시민 참여, 시민증 발급, 투표 등을 아우를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한편 고양 탄소지움카드는 지난달 30일부터 모바일 ‘고양 탄소지움’ 앱 또는 NH농협은행 영업점, 농·축협에서 발급할 수 있다. 신용에 문제가 없는 14세 이상 고양시민은 누구나 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다.
KT는 고양시민들이 카드 발급, 사용처 문의, 포인트 적립 등 고양 탄소지움카드 관련 문의에 대한 답변을 받을 수 있는 ‘KT착한카드 콜센터(1899-6946)’를 운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