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주도성장 강조한 尹정부···현대차 수혜 관측 나오는 이유
미래모빌리티 산업에 투자 확대···구미 지역에 첨단 산업단지 조성 계획 한·미동맹 강화 차원에서 현지 공장 설립 등 미국시장 투자 확대 독려 폭력·사업장 점거 등 노조 불법 행위 엄정 대응···강성 노조 리스크 감소
[시사저널e=유주엽 기자] 민간주도성장을 강조하는 윤석열 정부의 출범으로 국내 주요 기업들이 사업 확장에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특히 새 정부의 한미동맹 강화, 강성노조 불법행위에 대한 엄정한 법 집행 등 기조로 미루어 볼때 현대자동차그룹이 최대수혜 기업으로 꼽히고 있다.
12일 정·재계에 따르면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10일 취임식 이후 국내 5대 그룹(삼성·SK·현대자동차·LG·롯데) 총수들과 만찬을 가지며 경제 성장을 위한 기업의 역할을 당부했다. 구체적으로는 미래기술 개발 및 미국과의 협력관계 강화를 위한 투자확대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된 것으로 전해진다.
◇ 미래 모빌리티 중요성 부각···전기차 의미 커져
윤석열 대통령은 취임식에서 자유시장경제를 기반으로 한 성장을 목표로 밝히며 과학기술 개발을 방법론으로 제시했다. 향후 국가 성장을 주도할 미래 과학기술로는 반도체·모빌리티·우주개발 등이 조명됐다.
현대차그룹은 국내 모빌리티 산업을 대변하는 기업으로서 그 역할이 커지고 있다. 현대차는 전기차, 자율주행, UAM(도심항공교통) 등 분야에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특히 전기차 부문에서 현대차그룹의 글로벌 경쟁력이 주목을 받는다.
전기차 개발과 관련해선 배터리 성능 강화 및 단가 낮추기가 핵심 과제로 거론되고 있다. 새 정부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향후 적극적으로 나설 것으로 보인다. 윤 대통령은 앞서 구미지역을 2차 전지 및 미래모빌리티 산업단지로 구성할 계획을 밝혔다.
◇ 한·미 협력관계 강조···美공장 설립 동력 얻어
윤대통령은 취임식에서 한미동맹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주요 기업 총수들에게 미국 시장 내 투자 강화를 당부한 것으로 전해진다. 최근 미국 조지아주에 전기차 생산공장 설립을 검토하고 있는 현대차는 새 정부의 국정방향에 발맞춰 미국 내 시설투자를 확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차는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현지 생산 시설에 대한 투자를 늘려나가고 있다. 지난달엔 GV70 전동화 모델 생산라인 구축을 위해 미국 앨러배마 공장에 3억달러(한화 약 3800억원) 규모의 투자를 진행했다.
미국 현지 공장 설립은 조바이든 미대통령의 ‘바이아메리카(Buy America)’ 정책 기조와 맞물려 향후 미국 시장 내 판매 증대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바이아메리카 정책은 미국의 보호무역 조치로 미국 내 생산 제품에 세제 혜택을 부여하는 제도다.
그동안 현대차는 해외 공장 설립과 관련해 번번이 노조의 반대를 맞닥뜨려야 했다. 해외 공장이 늘어나면 국내 일감이 줄어들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현대차는 미국의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더불어 새 정부의 한미동맹 강화 흐름 속에서 미국 공장 설립의 명분을 얻었다.
◇강성노조 불법행위 엄정 대응···노조 리스크 감소 기대
윤석열 정부 출범으로 현대차가 가장 큰 수혜를 입을 것으로 기대되는 부분은 노사갈등과 관련한 사항이다. 현대차는 그동안 다른 국내 주요 기업들에 비해 유독 노사갈등으로 골머리를 앓아왔다.
윤 대통령은 앞서 강성노조의 폭력 및 사업장 무단점거 등 불법행위에 대해 엄정 대응할 의지를 밝혔다. 현재 강성으로 분류되는 현대차 노조는 곧 있을 단체교섭과 관련해 강경한 입장을 취하고 있지만 새로운 정부의 등장에 따라 이전보다 지지기반이 약해진 상황이다.
현대차 노조는 ▲기본급 월 16만5200원 인상(호봉승급분 제외) ▲순이익의 30%에 해당하는 성과급 지급 ▲숙련고용제 폐지 및 정년연장 ▲국내 공장 신설 등을 내세우고 있다. 다만 이와 같은 요구안이 받아들여지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향후 진행될 교섭과 관련해 현대차 노조 관계자는 “기존 요구안을 그대로 유지할 계획이며, 교섭 실패 시엔 정당한 쟁의권을 발동할 예정이다”고 여전히 강경한 입장을 고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