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노조, 임금제도 개선 요구···“경영진 안 나서면 강력 투쟁”
이현국 위원장 “최고경영진과 대화 원해···파업도 논의”
[시사저널e=이호길 기자] 삼성전자 노동조합은 임금협상이 최종 결렬되자 이재용 부회장을 포함한 최고경영진과의 공개 대화를 요구하며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파업도 불사하겠단 입장을 밝혔다.
삼성전자 노조 공동교섭단과 삼성그룹 노동조합 대표단 등은 16일 삼성 서초사옥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불공정한 임금제도 개선과 최소한의 휴식 권리 보장을 촉구하며 사측이 지난해부터 이어진 교섭 과정에 불성실하게 임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김성훈 삼성전자 노조 ‘동행’ 위원장은 “총급여 중 성과급 비중이 30% 이상으로 불확실성이 높다. 이는 성과 중심의 급여 체계가 갖고 있는 심각한 문제”라며 “하후상박에 근거한 급여 증액과 성과급 기준을 경상이익으로 바꿔 누구나 예측 가능하게 변경할 것을 요구한다. 또 포괄임금제와 임금피크제 폐지도 요구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회사는 부당한 취업 규칙 개정을 통해 여름휴가와 창립기념일 의무를 폐지했다. 원상복구를 통해 직원의 휴식권을 보장해줄 것을 강력히 요구한다”며 “공동교섭단 요구에 회사는 노동조합을 인정하지 않는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경영진의 책임 있는 자세를 요구하며 대화에 응하지 않을 경우 파업을 포함한 수단으로 강력한 투쟁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이현국 전국삼성전자노조 비생대책위원장은 “2021년도 교섭안의 핵심인 투명하고 공정한 급여 체계와 직원 휴식권 보장을 위해 삼성전자 최고경영진과 대화를 원한다”며 “최고경영진과 노동조합 대표자들이 전격적으로 만나서 논의하고 결정해야 한다. 대화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면 전국에 있는 모든 삼성그룹사 노조들이 총 연대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강력히 투쟁할 것”이라고 했다.
이 위원장은 파업 결의에 대해 “오늘 오후부터 공동교섭단에서 심도 있게 논의할 예정이다. 파업이 (문제 해결을 위한) 마지막 기회라면 파업할 생각”이라고도 말했다.
삼성전자 공동교섭단은 지난해 10월부터 사측과 임금협상을 벌여왔지만, 연봉 1000만원 일괄 인상과 포괄임금제 폐지 등에 대한 이견을 좁히지 못하면서 합의에 실패했다. 노조는 고용노동부 산하 중노위에 중재를 신청했고, 중노위는 양측의 현격한 입장차 속에 지난 14일 조정 중지 결정을 내렸다.
이에 따라 노조는 파업 등 합법적인 쟁의권을 확보했다. 노조가 조합원 찬반 투표를 통해 파업에 돌입한다면 1969년 삼성전자 창사 이래 53년 만에 첫 파업이 된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노조와 앞으로 계속 대화하겠다. 지속적인 대화를 통해 현재 상황을 마무리하고 2022년도 임금 교섭을 개시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