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만에 최고가’···면화 가격 급등세에 수혜주 주목

최근 1년 동안 74.3% 상승···이달 1일엔 10년 만에 최고치 기록 자연재해와 미국의 신장지구 면화 수입금지에 공급 불안정 영향 방직주 수혜업종으로 거론···“제품가에 반영 가능한 지 살펴봐야” 목소리도

2021-11-10     송준영 기자

[시사저널e=송준영 기자] 에너지와 금속 등 원자재 가격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는 가운데 면화 가격 역시 급등 흐름을 보이고 있어 주목된다. 주요 재배지에 폭우와 홍수 등 자연 재해가 발생한 데다 올해 초 미국이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산(産) 면 제품 수입을 전면 금지하면서 공급이 축소된 영향이다. 증시에선 면화 가격 급등 수혜 기업으로 방직 기업들이 꼽히고 있어 관심이 모인다.

◇ 면화 가격 10년 만에 최고치···공급과 수요 불균형

9일(현지 시간) 인터컨티넨탈익스체인지(ICE)에서 거래되는 12월물 미국 면화 선물 가격은 파운드당 119.38센트를 기록했다. 이는 1년 전인 지난해 11월 13일 68.46센트 대비 74.3% 상승한 수치다. 최근 두 달 동안에만 33% 가량 급등하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이달 1일에는 119.84센트를 기록하며 2011년 7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단위=센트. / 그래프=김은실 디자이너.

그동안 면화 가격은 에너지와 금속 원자재 가격 상승에 가려져 크게 주목받지 못했었다.  그러나 소비와 밀접한 의류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면화 가격의 급등세가 어떤 파생 결과를 이끌어낼 지 시장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태다. 

이 같은 면화 가격 상승은 공급이 불안정해진 결과로 해석된다. 우선 세계 주요 면화 수출국인 미국에서 면화 생산량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지난 여름 주요 재배지 중 하나인 텍사스와 미시시피 삼각주 일대에서 열대성 허리케인 영향으로 홍수와 폭우 피해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미국 농무부에 따르면 올해 미국 면화 생산량은 약 1700만베일(1 bale=217㎏)로 전망되는데 이는 2015년 이후 가장 적은 수준이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 갈등도 면화 가격을 밀어 올린 요인으로 평가된다. 올해 1월 미국 국토안보부 산하 관세국경보호청(CBP)은 신장자치구산 면화와 면 제품이 위구르족의 강제 노동으로 생산된다는 주장이 제기되자 수입을 전면 금지했다. 신장 지역은 글로벌 주요 면화 생산지인 중국에서 생산의 약 85%를 담당하고 있다. 게다가 미국이 신장산 면을 이용해 제3국에서 가공한 제품도 수입 금지하면서 미국산 면화의 수요가 높아진 점도 가격을 끌어올린 배경이 됐다.

여기에 리오프닝(경기재개) 이슈에 따른 수요 회복 흐름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미국과 중국, 유럽 등 주요 수요국들이 코로나19 백신 접종률 증가로 일상 회복에 나서면서 의류 구입에 지갑을 열고 있다는 것이다. 미 농무부는 면화 공장의 2021/2022년 시즌(2021년 8월~2022년 7월) 기말재고가 8710만베일로 줄어 3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 수혜주는 방직주?···리스크 감안해야 평가도

면화 가격이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증시에선 수혜를 받을 업종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면화 가격이 지난해부터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고 특히 최근엔 급등세를 보이면서 수익성이 높아지는 업종이나 기업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면화 가격 상승 수혜 업종 중 하나로 방직주가 꼽힌다. 방직은 식물·동물·광물질에서 실을 자아내고 그 실을 가지고 각종 직물이나 원사 등 제품을 만드는 제조업이다. 방직주는 통상 면화 가격이 올라갈수록 제품이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실적 개선 기대감이 높아진다. 국내 증시에 상장된 대표적인 방직주로는 DI동일, 일신방직, 대한방직, 방림, 전방 등이 있다.

의류주 일부 역시 수혜 가능성이 점쳐진다. 원재료값 가격 상승을 제품 가격으로 전이할 수 있는 기업의 경우 수익성이 개선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면화 가격이 오르기 전인 지난 8월만 하더라도 미국의 전체 의류 가격(미국 소비자 물가 기준)은 1년 전 대비 4.2% 상승했다. 

다만 면화 가격 상승이 이들 업종의 수익으로 곧바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에서 투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도 있다. 한 투자업계 관계자는 “어느 제조업이든 원재료 가격 급등이 골칫거리가 되고 있는 시기다. 이러한 상황에서 원재료 비용을 제품 가격에 반영시킬 수 있느냐가 매우 중요하다”며 “개별 기업의 시장 위치나 지배력, 원재료 수급 능력, 재고관리 등 다양한 부분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