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차세대 주자 존 오소프 상원의원, 정의선 이어 최태원 만났다
9일 SK서린사옥에서 만나 경제협력 방안 등 논의
[시사저널e=엄민우 기자]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방한한 존 오소프(Jon Ossoff) 미국 조지아주 상원의원을 만나 경제협력 방안 등을 논의했다. 30대 상원의원 오소프 의원은 미국 정가에서 차세대 주자로 떠오르는 인물로 앞서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과도 만난 바 있다.
10일 SK에 따르면 최 회장은 지난 9일 저녁 서울 종로구 SK서린사옥에서 오소프 의원, 크리스토퍼 델 코소(Christopher Del Corso) 주한 미국 대사대리 등과 만찬을 겸한 회동을 가졌다. 이 자리에는 이완재 SKC 사장, 지동섭 SK온 사장도 함께 참석했다.
올해 34세인 오소프 의원은 아프리카와 중동지역 탐사보도 전문 언론인 출신이다. 기후변화 대응에서의 미국의 역할과 신재생에너지 등 에코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미국 정가 차세대 주자로 꼽힌다. 그는 이날 오전엔 현대차 남양연구소를 방문해 정의선 회장을 만났다. 기아차는 조지아주 공장에서 K5 등을 생산한다. 정 회장이 미국 전기차 시장 공략에 공을 들이고 있는 만큼, 향후 협력 방안 등에 대해 논의한 것으로 파악된다.
최 회장은 오소프 상원의원을 만난 자리에서 “SK그룹은 배터리와 수소 등 친환경 비즈니스에 대한 과감한 투자로 미국 내 온실가스 감축과 안정적인 배터리 공급망 구축,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해 나갈 예정”이라며 “SK의 미국 내 투자는 단순히 돈을 버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미국 내 환경문제, 일자리 문제 등 사회문제를 해결하면서 함께 성장하는데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SKC가 조지아주에서 생산할 반도체 패키지용 글라스 기판은 전력 소모량은 절반으로 줄이면서 데이터 처리량은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는 미래형 첨단 소재”라고 소개하고 “SKC의 글라스 기판과 SK-포드 합작사인 블루오벌SK에서 생산될 배터리 등 SK의 그린 비즈니스는 미국이 2030년까지 줄여야 할 온실가스 배출량의 3.3%를 감당하게 된다”고 밝혔다.
최 회장은 또 “온실가스를 감축하지 않을 경우 벌금을 부과하는 등의 방식보다는 온실가스를 감축할 경우 세제혜택 등 인센티브를 주는 방식이 훨씬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민간 섹터의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동참을 이끌어 낼 수 있다”는 정책적 제안도 제시했다.
이에 대해 오소프 의원은 “SK와 조지아주, 더 나아가 한미 양국이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어 온실가스 감축에 따른 인센티브 시스템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정책으로 발전시켜 나가자고 화답했다.
최 회장은 올해만 미국을 세 차례 찾고 유럽을 방문하며 광폭행보를 보이고 있다. 특히, 미국 내 정계 리더들을 만나 직접 협력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세일즈 행보를 보이고 있다. 장인인 고(故) 노태우 대통령 빈소를 찾은 후에도 곧장 미국으로 날아가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