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모빌리티, CEO 직속 ‘상생협력 자문위’ 신설 검토
국회에 ‘플랫폼 파트너 상생안’ 제출···자문위, 학계·산업계 전문가들로 구성 서비스 파트너들과의 상생 창구 역할···가맹점 협의체도 구성
[시사저널e=이기욱 기자]독과점 논란, 골목 상권 침해 등으로 비판 여론에 휩싸였던 카카오모빌리티가 서비스 파트너들과의 동반 성장을 위해 CEO 직속 기구 신설 등을 포함한 개선 방안들을 마련했다.
6일 업계에 따르면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야당 간사인 송석준 국민의힘 의원은 최근 카카오모빌리티로부터 ‘플랫폼파트너 상생안’을 제출 받았다. 국토위의 여야 의원들은 지난달 국정감사에서 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대표를 증인으로 채택해 ▲가맹 택시 콜 몰아주기 의혹 ▲문어발식 사업 확장 ▲골목상권 침해 등에 대해 강하게 질타한 바 있다.
대표적으로 김상훈 국민의힘 의원은 “새로운 시장은 개척할 생각이 없고 당구장, 미용실, 스크린 골프 등 기존에 있는 소상공인들이 생업을 위해 하고 있는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면서 “기존 위치 정보와 기업 이미지,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해 빨대를 꽂고 있다”고 비판했다.
심상정 정의당 의원 역시 “카카오T(택시)는 택시호출 플랫폼, 즉 ‘심판’인데 선수의 역할도 함께 하려 하니 충돌하는 것”이라며 “콜 몰아주기가 사실 아니냐”고 지적했다. 이에 이헌승 국토위원장은 “한 달 안에 관련 의견을 제출해주길 바란다”고 요구했고 류 대표는 “카카오 다른 계열사들과도 논의해서 구체적인 방안들을 정리해 한 달 이내 드릴 수 있도록 하겠다”고 답했다.
송 의원이 제출받은 상생안에 따르면 카카오모빌리티는 학계, 산업계 등 외부전문가들로 구성된 ‘상생협력 자문위원회’(가칭)를 CEO 직속 기구로 설치할 방침이다. 자문위는 택시 기사, 대리 기사 등 서비스 파트너들과의 소통 창구 역할을 할 예정이며 신규 사업이 관련 산업에 미치는 영향 등을 분석하고 상생방안을 마련하는 업무도 수행한다.
또한 카카오모빌리티는 이달 중 가맹점 협의체를 구성해 카카오T 가맹 택시와의 협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가맹 사업 전반에 대한 가맹점의 요구사항과 의견을 수렴해 개선안을 도출하고 가맹점의 부담을 낮추기 위해 ▲유니폼 ▲기사 교육비 등 가맹 가입 초기에 필요한 비용도 줄일 방침이다.
가맹 택시 콜 몰아주기 의혹을 받고 있는 택시 배차 알고리즘의 경우 4개 택시 단체가 참여하고 있는 상생협의체에 알고리즘 동작 원리와 투명화 계획 등을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할 계획이다. 다만 악용 가능성 등을 고려해 알고리즘 세부 내용은 공개하지 않는다. 카카오모빌리티의 이번 상생안은 이해 당사자와의 협의 등을 거쳐 수정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