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국감도 ‘확률형 아이템’ 집중포화
엔씨소프트 VR 미국 게임과 비교하며 “기술 대신 수익모델만 집중” 지적
[시사저널e=이하은 기자] 올해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국내 게임사 대표적 수익 모델(BM)인 ‘확률형 아이템’에 대한 지적이 쏟아졌다. 오히려 글로벌 게임 시장에서 외면을 받아 장기적 발전을 막는다는 것이다.
1일 열린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감에서 이상헌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VR게임을 시연하며 국산게임 수익모델을 비판했다. 그는 게임 시리즈 ‘하프라이프’를 제작한 미국 밸브의 ‘알릭스 VR’을 시연한데 이어 다음달 출시를 앞둔 엔씨소프트의 ‘리니지W’ 트레일러의 게임플레이 화면을 비교했다.
이 의원은 “공교롭게도 두 게임사는 비슷한 시기에 설립됐다. 설립 후 어떤 회사는 VR 게임의 수준을 이만큼 올린 반면, 국내 회사는 이용자들의 결제를 유도하는 특정 비즈니스 모델 수준만 높여놨다”고 지적했다.
이어 “특정 비즈니스 모델을 고집하는 동안 국내 매출은 잘 나왔을지 몰라도 세계시장에서 고립은 심화됐다”며 “지금이 우리나라 게임 산업의 최대위기이자 기회라고 생각한다. 지금 혁신하지 못 하면 미래에 희망이 절망으로 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국감에는 강신철 한국게임산업협회장과 위정현 한국게임학회장이 참고인으로 참석해 확률형 아이템에 대한 질의에 답했다.
박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연초 논란이된 확률형 아이템 이슈를 언급하면서 현재 시행 중인 확률형 아이템 자율규제의 실효성을 지적했다.
강 협회장은 “자율규제를 강화하려 노력하고 있지만 부족한 게 있다. 보다 더 검토하고 연구하겠다”고 답했다.
위 학회장은 국내 게임사가 수익모델을 다변화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그는 “대형 게임사가 확률형 아이템과 IP 기반 게임을 양산해 게임 생태계를 피폐하게 만들었다”며 “당장 확률형 아이템을 폐기하기 어렵다면 로또보다 낮은 확률은 지양하고 광고 모델, 월정액 등 수익모델의 다원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 “문체부와 게임물관리위원회의 무능이 문제”라며 “확률형 아이템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어도 조치나 대응책, 분석 보고서 조차 나오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확률형 아이템에 대해 기본적으로 게임업계에 자율규제에 맡기고 있는데 신뢰는 많이 떨어진 상태”라며 “대안이 나와야 하는 것은 사실이다. 업계와 같이 이야기해보겠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