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신제품 발표 D-4···아이폰13, 뭐가 달라질까
전작과 큰 차이점 없을듯···카메라 등 일부 기능 업그레이드 예상 노치 디자인 축소 전망···시장 반응은 “기대 반, 우려 반”
[시사저널e=이호길 기자] 애플의 ‘아이폰13’ 공개가 나흘 앞으로 다가왔다. 신제품의 디자인과 기능, 가격 등에 대한 여러 관측이 쏟아지는 가운데 아이폰13 예상 판매량에도 관심이 쏠린다.
애플은 오는 15일(한국시간) 새벽 2시 미국 캘리포니아주 쿠퍼티노에 위치한 본사에서 특별 행사를 개최한다고 지난 8일 밝혔다. 현지 시간으로는 14일 오전 10시다. 이 자리에서 아이폰13이 공개될 것이라고 업계는 예상하고 있다. 노트북 ‘맥북프로’와 태블릿 PC ‘아이패드’ 새로운 모델도 하반기에 론칭될 예정이지만, 이날 공개될지는 미지수다.
11일 스마트폰업계와 미국 IT 전문매체 씨넷 등에 따르면 신제품은 ‘아이폰13’, ‘아이폰13 미니’, ‘아이폰13 프로’, ‘아이폰13 프로맥스’ 등의 시리즈로 구성될 전망이다. 전작인 아이폰12도 네 가지 모델이 출시됐다. 이들은 사이즈와 무게, 디스플레이 등에서 차이가 난다.
아이폰13과 전작의 큰 차이점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전반적인 기능을 안정화하는 식으로 업그레이드가 진행됐다고 외신은 전하고 있다.
카메라의 경우 일부 성능 상향이 예상된다. 초광각 카메라가 탑재돼 배경은 흐릿하게 하고, 인물에 초점을 맞추는 ‘시네마틱 비디오’ 기능이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 폴더블폰에 들어간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UDC) 기술은 적용되지 않는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디스플레이 상단의 노치(화면이 움푹 파인 부분) 디자인은 축소될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블룸버그 통신은 지난 7월 아이폰13의 노치가 작아질 것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노치는 전면 카메라나 센서 등의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움푹 파인 부분을 만드는 것인데, 동영상을 시청할 때 길쭉한 사각형 구간이 남아 이용자 사이에서는 이에 대한 호불호가 갈린다.
역대 아이폰 시리즈 중 최초로 위성통신 기능이 탑재될 가능성도 있다. 이 기능이 있으면 이동통신망 연결이 안 되는 지역에서 전화가 가능하다. 통신이 어려운 환경에서 긴급 상황이 발생할 경우 구조 요청 문자메시지 전송이나 전화 연결 등이 용이해진다.
가격은 전작과 비슷한 수준에서 책정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애플에 부품을 납품하는 파운드리 업체 TSMC가 최근 반도체 공급가를 올려 인상분이 아이폰13에 반영된다면 소비자 가격이 상승할 수도 있다. 128GB, 512GB, 1TB 등 저장 용량에 따라 가격이 달라질 전망이다.
아이폰13 흥행에 대한 시장의 예상은 엇갈린다. 애플 수요층은 두텁지만, 전작 아이폰12가 글로벌 시장에서 1억5000만대 이상 판매되는 등 인기가 워낙 높았던 점이 관건이다.
업계 관계자는 “아이폰12가 크게 흥행해서 애플 스마트폰을 살 사람들은 이미 다 샀다. 연속해서 또 많이 팔릴 수 있느냐에 대한 걱정이 있다”며 “시장에서는 기대 반, 우려 반으로 바라보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