둔촌주공 공급 내년으로 밀리나···‘선분양 vs 후분양’ 이견 여전

조합 “분양가 상한제 적용···시기 늦출수록 분양가격 높아져” 시공사, 선분양 고수···“금융 부담 덜하고 공사 무리 없어”

2021-06-23     길해성 기자

[시사저널e=길해성 기자] 단군 이래 최대 재건축 단지로 불리는 둔촌주공에서 후분양을 희망하는 목소리가 커지자 시공사들이 ‘촉각’을 곤두세우는 분위기다. 조합에선 최대한 높은 분양가를 받기 위해 분양 시기를 늦추길 바라는 반면 시공사는 비용 부담을 이유로 선분양을 고수하고 있다. 분양 방식에 대한 입장이 평행선을 달리면서 올해 10월 예정이었던 분양 일정도 안갯속에 빠졌다.  

23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둔촌주공 시공사업단(현대건설·HDC현대산업개발·대우건설·롯데건설)은 최근 분양 방식을 선분양으로 진행하길 바란다는 입장을 조합 측에 전달했다. 조합 내부에서 후분양을 원하는 목소리가 커진데 따른 조치로 풀이된다. 시공사업단 관계자는 “건설사 입장에선 가능하면 후분양 보다는 선분양이 금융적인 부담이 덜하고 공사를 하는데 무리가 없다”고 설명했다.

조합은 당초 지난해 일반분양을 진행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정부와 분양가 협상이 어그러지고 조합 내홍이 겹치면서 분양이 계속 미뤄졌다. 조합은 3.3㎡당 3550만원을 제시한 반면 주택도시보증공사(HUG)는 2978만원을 고수했다. 분양가 협상이 더디자 조합원들은 비상대책위원회를 만들어 기존 조합 집행부에 거세게 반발했다. 결국 지난해 8월 집행부가 전원 해임됐다. 이후 9개월 만인 지난달 29일 조합은 새 집행부를 꾸리고 사업 정상화에 나섰다. 집행부는 자체 용역을 통한 분양가 산정에 나서는 한편 후분양도 고려하고 있다.

조합 내부에서 후분양을 원하는 이유는 분양 시기가 늦어질수록 분양가격을 높게 받을 수 있어서다. 둔촌주공은 분양가 상한제를 적용받는 단지다. 분양가 상한제 하에서 분양가는 ‘택지비+기본형 건축비+가산비’를 통해 지방자치단체의 분양가심사위원회가 결정하게 돼 있다. 택지비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땅값이 오를수록 분양가를 더 많이 받을 수 있는 구조다. 분양가 상한제 적용 단지는 HUG의 고분양가 심사도 적용받지 않는다. 한 업계 관계자는 “서울 땅값이 계속 오르고 있는 만큼 분양이 내년으로 미뤄질수록 분양가격은 더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며 “분양수입이 높아지면 조합원들의 추가분담금도 낮아진다”고 설명했다.

반면 시공사업단은 무조건 선분양을 해야한다는 입장이다. 후분양을 할 경우 3조2000억원에 육박하는 공사비를 선투입 하기 어렵고, 일정 지연으로 이미 투입된 공사비에 대한 금융비용이 크게 늘어날 수 있어서다. 조합이 후분양에 따른 금융비용을 직접 조달하기로 하더라도 시공사가 이를 보증하는 사례가 많다는 점을 고려하면 리스크가 크다는 게 시공사업단의 설명이다. 시공사업단의 한 관계자는 “현재 이주비 대출 관련 월 이자만 수십억원에 달하는 등 금용비용이 적지 않은 상황이다”며 “분양시기가 늦어져 사업비가 증가하게 되면 시공사뿐만 아니라 조합도 손실이 늘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

시공사업단 측은 분양 시기를 올해 말이나 내년 초로 예상하고 있다. 시공사업단 관계자는 “새롭게 꾸려진 조합에 정상화 시간이 필요하고, 분양가·분양 방식이 정해지지 않아 올해 10월 예정된 분양은 힘들어 보인다”며 “새롭게 꾸려진 조합에 정상화 시간이 필요하고, 분양가·분양 방식이 정해지지 않아 올해 10월 예정된 분양 일정도 미뤄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둔촌주공은 서울시 강동구 둔촌동 170-1번지 일대(면적 약 62만㎡) 초대형 재건축 단지다. 재건축이 완료되면 기존 5930가구에서 지상 최고 35층, 85개 동, 1만2032가구(일반분양 4805가구)로 탈바꿈한다. 서울 단일 단지로는 역대 최대 규모다. 단지명은 ‘둔촌 올림픽파크 에비뉴포레’다. 이곳은 지하철 5·9호선 더블 역세권에 입지에 청약 대기자들이 기대가 큰 곳으로 꼽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