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올해 성장률 3.1→3.8% 올려

‘2021년 상반기 경제전망’ 발표 수출 개선 반영해 성장률 상향 내수 및 고용은 아직 부진

2021-05-13     이준영 기자
2020년 5월 1일 부산항 신선대부두. / 사진=연합뉴스

[시사저널e=이준영 기자]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올해 한국경제 성장률을 3.8%로 전망했다. 수출 개선을 반영해 기존 전망치 3.1%에서 올려 잡았다.

KDI가 13일 발표한 ‘2021년 상반기 경제전망’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3.8%다. 지난해 11월 전망치 3.1%보다 0.7%포인트 상향했다.

KDI는 최근 우리 경제가 코로나19 확산 지속에도 불구하고 수출 중심으로 경기가 완만하게 회복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KDI는 올해 총수출 증가율 전망치를 종전 3.1%에서 8.6%로 대폭 올렸다. 경상수지는 829억달러(약 94조원) 흑자를 예상했다. 설비투자는 8.5%, 건설투자는 1.4% 각각 증가할 것으로 제시했다.

다만 내수와 고용 회복세는 부진할 것으로 전망됐다.

KDI는 올해 민간소비 증가율이 2.5%에 그칠 것이라고 예상했다. 작년 하반기 경제전망 당시 증가율 2.4%에서 0.1%포인트 오른 수치다. 지난해 민간소비가 4.9% 감소한 점을 고려하면 코로나19 이전 수준에도 미치지 못한다.

취업자 수는 소폭 반등에 그칠 것으로 예상됐다. KDI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올해 서비스업 회복이 제한되면서 작년(-22만명)의 기저효과에도 불구하고 소폭 반등(19만명)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내년에는 대면서비스업 고용 회복으로 33만명 증가를 예상했다.

소비자물가는 농축수산물 가격과 국제유가 급등으로 올해 1.7%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다. 종전 전망치 0.7%보다 1.0% 포인트 오른 수치다.

KDI는 경제 성장률이 백신 보급 속도와 미중 갈등 격화에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KDI는 “코로나19 확산이 가속화되거나 백신 보급에 차질이 발생할 경우 우리 경제는 미약한 회복세 그칠 것이다”며 “미국과 중국 간의 갈등이 격화될 경우 양국에 대한 수출 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의 회복이 지체될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이미지=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