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 단독주택 공시가 1위는 이명희 신세계 회장 자택
올해 보다 6.6%↑오른 295억3000만원···공시가 6년 연속 부동의 원 톱
[시사저널e=노경은 기자] 내년 표준단독주택 공시가격 중 이명희 신세계그룹 회장의 서울 용산구 자택 공시가격이 300억에 육박하며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올해 대비 6.6% 오른 가격이다.
18일 부동산 공시가격 알리미 사이트에 따르면 이명희 회장의 용산구 한남동 자택 내년도 공시가격은 295억3000만원으로 평가됐다. 이는 올해 277억1000만원에 비해 6.6% 오른 것이다.
이 회장의 한남동 자택은 표준단독주택 공시가격 6년 연속 부동의 1위 자리를 지켜왔다. 이 주택의 공시가격은 2018년 169억원에서 작년 270억원으로 59.7% 올랐고, 올해에는 277억1000만원으로 2.6% 상승했다. 대지면적 1759㎡, 연면적 2862㎡의 지하 2층~지상 1층 철근콘크리트 주택으로 구성돼있다.
다음으로는 이해욱 대림산업 회장의 강남구 삼성동 주택이 190억2000만원으로 공시가격 2위를 기록했다. 이 주택의 공시가격 역시 올해 178억8000만원에서 내년 190억2000만원으로 6.4% 상승한다.
용산구 이태원동 서경배 아모레퍼시픽 회장 주택(173억8000만원), 용산구 이태원동 소재 최모씨 주택(168억5000만원), 5위 강남구 삼성동의 안정호 시몬스침대 대표 자택(156억4000만원)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서경배 아모레퍼시픽 회장이 소유한 이태원동 주택의 공시가격도 167억8000만원에서 173억8000만원으로 3.6% 오른다. 이 주택도 2018년 108억원에서 작년 165억원으로 52.7% 급등했다가 올해는 167억8000만원으로 1.7% 추가 상승했다.
앞서 국토부는 공시가격 현실화율 로드맵에 따라 가격대별로 현실화율 목표를 설정, 이에 따라 공시가격을 인상했다. 내년도 공시가격의 시세 15억원 이상 고가주택의 평균 인상률은 11.58%라고 했다.
한편 내년 서울 표준단독주택 공시가격은 전년보다 10.13% 상승한다. 이 중 동작구가 가장 높은 상승률인 12.86%를 나타냈다.
서울 지역 내 구별로는 동작구가 12.86%로 최고치다. 이어 서초(12.19%) 강남(11.93%) 송파(11.86%) 마포(11.39%) 중구(11.23%) 성동(11.10%) 용산(11.02%) 등이다. 가장 낮은 구는 도봉구로 5.05%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