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금회, 정권 말기에도 여전한 영향력···멍드는 금융권 

주요 금융단체 수장 인사에 PK 인사 기세등등  정지원 손보협회장·도규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등장···부금회 재조명 정권 말에도 영향력 막강한 듯

2020-11-19     이용우 기자
왼쪽부터 김지완 BNK금융지주 회장, 도규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정지원 손해보험협회장 내정자, 김태영 은행연합회장. / 사진=시사저널e 

[시사저널e=이용우 기자] 문재인 정부 들어 주목 받았던 부산 출신 금융인사 모임으로 일컫는 ‘부금회’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정권 초기 금융권 요직에 예상치 않았던 부산 출신 인사들이 깜짝 발탁되는 사례들이 있었는데 최근 이들의 요직 꿰차기가 다시 시작된 모습이기 때문이다. 금융업계에선 능력보다 출신·인맥으로 등장하는 관행들이 여전하다며 비판적 시각이 많다. 

◇정권 말기에도 PK 출신들 요직 차지 여전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정권 말이 된 지금 금융권의 요직 인사들이 속속 재조명되고 있다. PK(부산·경남)인사들로 이뤄진 부금회가 돌아가며 한 자리씩 차지하는 모습들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부금회는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인 2016년 부산 출신 인물들이 금융권 요직에 들어오면서 실세라는 의혹을 받고 있다. 정부 초기엔 금융권에서 김지완 BNK금융그룹 회장이 노조의 반대에도 선임됐고 이후 정지원 한국거래소 이사장, 이동빈 수협은행장, 김태영 은행연합회장 등 부산 출신 금융인들이 예상치 못한 약진을 하며 이런 의혹에 힘이 실렸다.

부금회의 요직 차지는 각종 금융권 협회장의 임기가 만료되면서 다시 시작한 분위기다. 손해보험협회가 지난 13일 PK 출신인 정지원 전 한국거래소 이사장을 손해보험협회장에 선임한 것이 대표적이다. 

부산 대동고를 나온 정 회장 내정자는 행정고시(27회) 출신으로 재무부와 재정경제부에서 일한 뒤 금융위원회에서 기획조정관, 금융서비스국장, 상임위원 등을 두루 거쳤다. 지난 2015년 한국증권금융 사장을 거쳐 한국거래소 이사장을 역임했다. 

정 회장 내정자가 앞서 2017년 한국거래소 이사장에 선임될 당시에도 업계에선 말이 많았다. 후보 접수가 끝났지만 거래소가 추가 공모하는 일이 더해지는 등의 진통 끝에 정 이사장이 선임돼 부금회의 힘이 작용했다는 이야기가 돌았다. 

이번 손해보험협회장에 선임된 것을 두고도 한 보험업계 관계자는 “정지원 이사장의 경력에 보험사 경력이 없는데 협회장에 오른 상황이다. 의아하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 1일에는 도규상 전 청와대 경제정책비서관이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임명됐다. 도 부위원장도 부산 출신으로 부산 배정고를 졸업한 대표 PK 출신 인물이다. 재정경제부 경제정책국을 거쳐 금융위 자산운용과장, 금융서비스국장, 금융정책국장, 청와대 비서관 등을 지냈다.

올해 3월엔 김지완 BNK금융지주 회장이 연임에 성공하며 임기를 2023년까지 연장했다. 문 정권 출범 이후 주목받은 부산 출신으로 이동빈 전 수협은행장도 있다. 하지만 그는 지난 11월 3년 임기를 마치고 퇴임했다. 

◇금융권 “출신 거론되는 인사 부적절”

현재 금융권 협회장 선임을 위해 전국은행연합회와 생명보험협회가 차기 회장 인선 작업을 하고 있다. 은행연합회가 내놓은 롱리스트에는 김광수 농협금융 회장, 이정환 주택금융공사 사장, 민병두 전 의원, 김병호 전 하나금융지주 부회장, 민병덕 전 KB국민은행장, 신상훈 전 신한금융지주 사장, 이대훈 전 농협은행장 등 7명이 이름을 올렸다.

이중 이정환 사장이 부금회 멤버로 거론된다. 그는 부산 동아고 출신으로 참여정부 당시 한국거래소 이사장에도 임명된 바 있다. 김태영 현 은행연합회장이 2017년 은행연합회장에 단독 후보로 추대될 당시 딱히 은행과 관련한 경력이 없음에도 부산 출생이라는 점이 부각되며 협회장에 오른 것처럼 이번에도 이 사장의 발탁 가능성에 관심이 집중된다. 

금융업계는 정권이 바뀔 때마다 실세 조직이 거론돼 왔다며 현 정권에서도 이런 논란이 계속돼 문제라는 비판을 내놓는다. 한 은행 관계자는 “이명박 정부 때는 고금회(고려대 금융인 모임), 박근혜 정부 땐 서금회(서강대 금융인 모임)가 힘을 과시했는데 이 정부도 전혀 다르지 않다. 정권 말기에 의문스런 인사가 이뤄지고 있다”며 “실력이 아니라 출신이 계속 거론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