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일평 LG전자 CTO "뉴노멀 핵심 가치 안심·편리·재미"
3일 독일 베를린에서 IFA 2020 프레스 콘퍼런스 경기도 판교신도시에 조성한 LG 씽큐 홈 첫 공개
LG전자가 유럽 최대 가전 전시회 IFA2020에서 미래 가전 산업 목표를 제시하고 유럽 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제품 전략을 소개했다. 올해 IFA가 코로나19 여파로 축소 운영되는 가운데 LG전자는 IFA 전시관을 재현한 3D 가상 전시회를 열었다.
3일(현지시각) LG전자는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IFA 2020’에서 ‘집에서 좋은 삶이 시작됩니다(Life’s Good from Home)’를 주제로 프레스 콘퍼런스를 진행했다. 이날 행사는 IFA 홈페이지와 LG전자 글로벌 유튜브 채널에서 실시간 생중계됐다.
이날 연사인 박일평 최고기술책임자(CTO) 사장은 프레스 콘퍼런스장 무대에 직접 나오는 대신 미리 촬영한 홀로그램으로 등장했다. 박 사장은 코로나19가 앞당긴 새로운 시대의 변화된 생활을 조망하며 집에서 ‘안심’, ‘편리’, ‘재미’ 등 3가지 가치를 극대화해 사용자에게 ‘좋은 삶’을 제공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박 사장은 “코로나19를 마주하고 있는 우리는 집에 대한 새로운 잠재력을 확인하고 변화해야 하는 상황에 있다”며 “라이프스타일 이노베이터로서 혁신을 선도하는 가운데 고객들의 안심하고 편리하고 재미있는 ‘좋은 삶’을 위해 끊임없는 변화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우선 박 사장은 스타일러, 건조기, 식기세척기 등 LG전자의 스팀기술이 적용된 가전 제품군을 소개했다. 여기에 LG전자가 올해 새롭게 선보이는 48인치 OLED TV 및 새로운 가전 관리 서비스 등을 공개했다.
LG전자 로봇 사업 성과도 공유했다. LG전자는 상업용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지난 7월 클로이 서브봇을 본격 출시했다. LG 클로이 로봇은 레스토랑이나 병원에서 비대면 서비스를 제공한다. 박 사장은 로봇이 사람 간의 상호작용을 대신하는 효율적인 대안이 될 것이라며 “오픈소스 로봇 운영체제(ROS2)와 호환되는 LG 클로이 플랫폼을 기반으로 LG전자 로봇이 동작하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LG전자는 원격 건강 관리 기술을 개발 중이라고 밝혔다. 디지털 전환을 통해 사용자가 건강을 관리하는 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킨다는 목표다. 박 사장은 “인공지능을 통해 고객은 더 쉽고 정확하게 24시간 내내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을 것”이라며 “최근 서울대학교병원과 함께 만성질환자의 상태를 관리하는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진행했다”고 밝혔다.
LG전자 사물인터넷(IoT) 플랫폼인 LG 씽큐 앱의 경우 지난해부터는 가전 제품을 관리하는 프로액티브 서비스를 지원했다. 이 서비스는 인공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제품의 작동상태를
이와 함께 LG전자는 최근 새롭게 조성한 ‘LG 씽큐 홈’을 소개했다. LG 씽큐 홈은 경기도 판교신도시에 조성된 실제 공간으로, LG전자의 전력 관리 솔루션부터 집 안의 주요 기기들을 연동한 스마트홈 통합 솔루션이 구현됐다.
이날 행사에선 독일 현지와 씽큐 홈을 실시간으로 연결하는 세션도 진행했다. LG 씽큐 홈에 있던 박일평 사장은 집 안을 손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설치된 스마트 미러인‘LG 씽큐 홈컨시어지’를 직접 소개했다. 사용자들은 LG 씽큐 홈컨시어지를 이용해 가전의 동작상태를 한 눈에 확인해 조작할 수 있다. 박 사장은 “씽큐 앱과 씽큐 홈이 플랫폼으로서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며 “LG 씽큐 플랫폼을 통해 새로운 서비스와 솔루션, 비즈니스 모델 등을 창출해 변화를 주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