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금융권 가계·기업대출 문턱 더 높아진다
대기업·중소기업·가계 대출태도··· 2분기보다 더 높아 코로나19 영향에 자산건전성 악화 우려
올해 3분기부터 은행 등 금융기관에서 대출받기가 더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 사태에 따라 금융사들이 대출 연체율 상승을 우려해 대출 심사를 더 깐깐하게 볼 것이란 예상이다.
한국은행이 13일 발표한 ‘금융기관 대출행태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3분기 금융기관들의 대기업·중소기업·가계에 대한 대출태도는 모두 2분기보다 더 높아졌다.
이번 설문조사는 지난달 22일부터 이달 8일까지 199개 금융기관(은행 15·상호저축은행 16·신용카드 8·생명보험사 10·상호금융조합 150) 여신 총괄책임자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국내은행의 차주별 대출행태지수를 보면 대기업대출은 2분기에 -10에서 3분기에 -13으로, 중소기업은 7에서 -10으로 강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가계에 대한 대출태도 역시 주택대출은 -7에서 -17로 가계일반은 3에서 0으로 높아졌다. 이 수치가 마이너스면 대출태도 강화를, 플러스면 그 반대를 의미한다.
한국은행은 가계소득 감소에 따른 상환능력 저하 등으로 저신용, 저소득층 등 취약차주를 중심으로 대출태도가 높아진다고 분석했다. 또 중소기업의 경우 실물 경기 부진에 따른 채무상환 능력 저하 등으로 신용위험에 대한 경계감이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금융권이 판단한 3분기 신용위험 지수은 전반적으로 올라갔다. 2분기 대기업과 가계주택·가계일반 대출 관련 신용위험 지수는 각각 23, 40, 40 수준을 기록했다. 이 수치는 3분기에 27, 43, 43으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됐다. 그만큼 금융권이 대기업과 가계대출 확대에 따른 건전성 위험을 우려하는 모습이다. 다만 중소기업은 2분기와 같은 신용위험 지수(43)를 유지했다.
저축은행 등 비은행 금융기관도 같은 설문조사에서 3분기 대출태도가 높아지고 신용위험은 커질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카드사는 대출태도를 완화할 것으로 예상됐다. 지난 4~5월 카드론 증가율이 각각 8.1%, 6.1%로 예상보다 저조해 3분기 중에 대출 영업 강화에 나설 것이란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