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클라우드 반도체 설계 지원···"팹리스 상생"
중소 업체 자체 서버 구축 부담 해소···기간단축·비용절감
삼성전자가 서버 없이도 반도체 칩 설계를 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설계 플랫폼을 제공한다.
18일 삼성전자는 클라우드 플랫폼 업체인 리스케일과 함께 구축한 '통합 클라우드 설계 플랫폼(SAFE-CDP)'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 서비스는 팹리스 업체들이 아이디어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나 즉시 칩 설계를 시작할 수 있도록 가상의 설계 환경을 제공한다. 자동화 설계 소프트웨어 업체인 앤시스, 멘토, 케이던스, 시놉시스 등 소프트웨어를 클라우드에서 구동할 수 있도록 구축했다.
공정이 미세화될수록 반도체 칩 설계는 복잡해지고 난이도 또한 높아진다. 특히 설계 작업의 후반부로 갈수록 필요한 컴퓨팅 자원도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 칩 검증에 소모되는 시간도 상당하다.
'SAFE-CDP'는 서버 확장에 대한 투자 부담을 줄인다. 칩 설계와 검증 작업에 필요한 컴퓨팅 자원도 단계에 따라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다. 팹리스 기업은 자체 서버 구축 대비 소요되는 시간과 투자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일례로 국내 팹리스 업체 '가온칩스'는 SAFE-CDP를 활용해 차량용 반도체 칩을 설계한 결과 기존 대비 약 30%의 설계 기간을 단축하는 성과를 냈다. 에이디테크놀로지, 하나텍 등 여러 국내 중소 업체들도 SAFE-CDP에 대한 사용 의사를 밝혔다.
정규동 가온칩스 대표는 "삼성의 통합 설계 플랫폼은 중소 팹리스 업체들의 시장 진입장벽을 낮춰줄 것"이라며 "제품 경쟁력 향상으로 국내 업체들이 더욱 성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재홍 삼성전자 DS부문 파운드리사업부 부사장은 "리스케일과 함께 선보이는 삼성전자의 통합 설계 플랫폼은 팹리스 업계가 클라우드 기반 설계 환경으로 옮겨가는 중요한 기반이 될 것"이라며, "파운드리 생태계 강화를 통해 고객들이 혁신적인 제품을 출시할 수 있도록 지속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같은 지원 전략은 삼성전자가 지난해 4월 발표한 '시스템 반도체 생태계 강화 방안'에 기인한다. 삼성전자는 2030년까지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 133조원 규모 투자를 통해 파운드리 및 국내 팹리스 상생 협력에 속도를 내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는 국내 팹리스 및 디자인하우스에 대한 기술 교육을 지원해왔다. 국내 중소 팹리스 업체의 제품 개발 활동에 필수적인 MPW(Multi-Project Wafer)프로그램을 공정 당 연 3~4회로 확대 운영하고, 8인치뿐 아니라 12인치 웨이퍼로 최첨단 공정까지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MPW는 다품종 소량 생산을 위한 파운드리 형태로 한 장의 웨이퍼에 다른 종류의 반도체 제품을 함께 생산하는 방식을 말한다. 삼성전자는 중소 업체들과 협력해온 제품을 올해 말부터 본격 양산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