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성수 금융위원장 “은행권, 기간산업 보호에 동참해야”
“코로나19 경제 방역은 아직 진행 중” 은행권, 2월7일 이후 코로나19 피해 기업에 77조원 금융지원
은성수 금융위원장이 은행권에 국책은행과의 협업을 통해 기간산업을 지켜달라고 당부했다.
은 위원장은 6일 오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비상경제중앙대책본부(경제 중대본) 금융리스크 대응반 회의를 주재하면서 “경제 방역은 아직 진행 중”이라며 이같이 강조했다.
그는 “정부는 기간산업안정기금을 통해 경영 자율성을 보장하되 고용 안정과 기업의 도덕적 해이 방지를 전제로 일시적 어려움에 놓인 기업을 지원할 것”이라며 “기금 조성에는 특히 산업은행이 많은 역할을 해주고 있다”고 말했다. 은 위원장은 이어 “은행권도 산은과 협업 등을 통해 기간산업을 지키는 데 동참해줬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은 위원장은 또 이달 18일 접수를 시작하는 2차 소상공인 금융지원 프로그램에 저신용자의 금융소외가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고 전했다.
그는 “7등급 이하의 저신용등급 고객들이 은행 창구에서 소외되지 않을지 가장 우려스럽다”며 “은행권의 부담을 덜면서도 저신용자의 소상공인 대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대안을 신용보증기금, 은행권과 함께 찾겠다”고 말했다.
금융위는 이번 2차 긴급대출 접수창구를 시중은행(신한·국민·우리·하나·기업·농협)으로 일원화했다. 2차 긴급대출 금리는 연 3∼4% 수준으로 1차(연 1.5%)보다 다소 높아졌다.
은 위원장은 “여전히 중소·중견기업은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며 “동산 담보 회수지원기구를 조속히 가동하고 매각 후 재임차 등 다양한 방식의 자금 조달 지원, 주요 기간산업 협력업체의 자금 조달 애로 완화에도 나서겠다”고 밝혔다.
한편 금융위에 따르면 올해 2월7일 이후 이달 1일까지 코로나19 피해 소상공인과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만기 연장, 금리·한도 우대 대출 등 77조4000억원(약 89만건)의 금융지원이 이뤄진 것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