폼페이오 “김영철 면담·실무협상, 진전 있었다”
“완전한 비핵화 이루면 민간기업들 북한 투자 준비 돼”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은 22일(현지시간) 최근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의 워싱턴 방문에서 대화의 진전이 있었다고 밝혔다. 스웨덴에서 진행된 북미의 첫 실무협상에서도 진전이 있었다고 말했다.
김영철 부위원장은 지난 17~19일 2차 정상회담 준비를 위해 워싱턴을 방문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면담을 했다. 북미 양국은 지난 19~21일 스웨덴에서 첫 실무협상을 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폼페이오 장관은 이날 위성 연결로 진행한 스위스 다보스의 세계경제포럼(WEF) 연설 직후 문답에서 “지난주 김영철이 워싱턴DC를 방문했을 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의 면담 자리에서 더 많은 진전이 있었을 뿐 아니라 스티븐 비건 대북정책특별대표는 최근 지명된 그의 카운터파트와 만나는 기회를 가졌다”고 말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이를 통해 지난해 6월 싱가포르 정상회담 합의사항 성사를 위한 의제 중 일부를 논의했다고 밝혔다.
폼페이오 장관은 스웨덴에서 열린 첫 북미 실무협상에 대해 “조금 더 진전된 것으로 마무리됐다”고 말했다.
다만 폼페이오 장관은 “해야 할 일이 많이 남아 있다”고 말했다.
이어 “두 정상이 동의한 한반도 안보와 안정, 평화를 위한 비핵화 달성에는 아직 많은 단계가 있다. 우리는 그 목표 달성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2월 말에 우리는 (비핵화 달성을 향한) 길에서 또 하나의 좋은 이정표를 가질 것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북한의 비핵화 진전 조치가 이뤄질 경우 민간자본의 북한 내 사회간접자본(SOC) 투자가 활발해질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지금은 민간영역이 큰 역할을 하지 못하지만 우리가 비핵화 달성을 향한 본질적 조치를 하고 올바른 여건을 조성한다면, 북한 주민에게 필요한 전기나 북한에 절실한 인프라 구축 등 뭐든 간에 그 배경에서 드러나는 것은 민간 부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 모두 기대하는 안정을 가져올 북한의 경제 성장 달성에 필요한 엄청난 민간 부문의 진출(push)이 있을 것”이라며 “만약 우리가 완전한 비핵화를 이룰 수 있으면 민간기업들은 북한에 투자하고 북한을 지원할 준비가 돼 있다. 민간 부문도 이(비핵화) 협정의 최종요소를 이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폼페이오 장관은 WEF 연설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정책 기조인 최대의 압박 작전 덕분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협상테이블에 나서게 됐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