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분석] 文정부 일자리 청사진 ‘사회적경제’…기대·우려 교차
“경제 주체들이 사회적 문제 해결할 것” vs “민간기업 창의성 옥죌 것”
문재인 정부가 일자리 정책 청사진으로 ‘사회적경제’를 들고 나왔다. 사회적경제는 일반인들에게 다소 생소한 언어다. 사회주의적 경제 용어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 새 정부가 일자리 정책 핵심 기조로 주창하는 사회적경제에 대해 집중 조명해본다.
지난 18일 문재인 대통령은 3차 일자리위원회 회의에서 “사회적경제는 우리 경제가 직면한 고용없는 성장과 경제적 불평등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이라며 고용불안, 양극화, 고령화 등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사회적경제를 꼽았다.
사회적경제는 경제 주체들이 중심이 돼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말한다. 간단히 말하면 돈보다 사람이 우선시 되는 사회를 만들겠다는 말이다. 기업들의 이윤극대화보다 사회 여러곳에 산적한 문제들을 경제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하겠다는 취지다.
사회적경제는 시장경제와 다르다. 시장경제는 이윤극대화를 최고 가치로 평가하는 반면, 사회적경제는 사람을 가장 중시한다. 사회적경제는 사회 내 불평등, 빈부격차 등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유럽 등 선진국에서 처음 등장하기 시작했다.
우리나라 대기업 수장 중에서도 사회적경제를 강조하는 사람이 있다. 최대원 SK그룹 회장은 기업 생존 이념으로 사회적 가치 창출을 꼽아왔다. 최 회장은 “기업의 경제적 가치 안에 사회적 가치가 내포돼야 한다”며 제품과 서비스에 사회적가치가 담겨야 한다고 주창한 바 있다.
정부는 사회적경제를 통해 비정규직 차별, 노동자 격차 등 노동 조건을 개선하고자 한다. 또 기업들이 사회적 가치를 핵심 정책으로 삼도록 해 사회적 경제기업을 더 많이 창출해내고, 이로 인해 국민들이 더 좋은 일자리를 가질 수 있게 만들겠다고 약속한다.
이와 관련,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사회적기업 비율은 유럽 선진국 등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라며 “(사회적경제는) 단순한 복지를 떠나 사회적기업이 고용 측면에서 주는 효과도 크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기업들이 사회적경제를 창출해야 한다는 이념 자체를 반대하는 시각은 적다. 하지만 정부가 팔을 걷어붙이고 나서는 경우엔 우려의 목소리도 불거진다. 정부가 강제적으로 사회적경제를 기업들에 주입하면 부작용이 더 클 것이라는 지적이다.
한 야당 국회의원은 “사회적 기업은 조심해야 한다. (사회적 기업들은) 심하게 말하면 집단 농장”이라며 “정부가 사회적 약자들이 사회 활동을 하는데 도움을 줄 순 있다. 하지만 사회적경제를 국정 과제로 지정해 고용을 늘린다는 계획은 굉장히 위험한 발상이다. 민간 부문의 창의성을 옥죌 수 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