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協, ISO 37001 도입 등 리베이트 척결 착수
영업대행사 세무조사 의뢰 등 이사장단 위임…제약산업 고사 약가제도 수용 불가 천명
한국제약협회는 17일 오후 2017년 제2차 이사회를 개최했다, 이날 이사회에서 참석자들은 ISO 37001 도입 및 인증 계획과 함께 불공정거래행위 근절방안 마련 및 추진을 이사장단 회의에 위임하는 내용의 ‘의약품 시장 투명성 강화 계획’을 만장일치로 승인했다.
해당 안건은 품질·가격 경쟁력이 있는 기업이 성장하는 공정한 경쟁구조 확립과 국민이 공감하는 윤리경영 확립을 통해 정부의 산업육성정책 집행에 탄력을 부여하겠다는 취지를 담았다. 협회 회원사들 이해관계가 대립하는 민감한 현안인 CSO에 대한 세무조사 의뢰 여부도 근절방안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협회는 오는 11월 이사장단사를 시작으로 오는 2019년 말까지 15개 이사장단사와 35개 이사사의 ISO 37001 도입 컨설팅을 완료하도록 하는 등 순차적 추진 일정을 마련했다. 회원사들에게는 개별 회사 당 700만원대 컨설팅 비용을 지원키로 했다. ISO 37001은 인증기관이 리베이트 등 이슈를 관리하는 회사 정책을 심사 후 인증하는 것이다. 국제 표준기구의 뇌물방지경영시스템이다.
또한 협회는 “국민 건강 보장성 확대를 위한 정부 정책 취지에는 공감하나 보장성 확대에 따른 재원 마련을 이유로 일방적으로 제약·바이오산업을 희생양 삼으려는 시도에 대해서도 거부할 것”이라는 내용의 결의문을 이날 채택했다. 이사사들은 결의문에서 “정부 산업육성 정책기조에 부응, 신약개발을 위한 R&D 투자를 확대하고 양질 일자리를 창출해 국민산업으로서 사회적·경제적 책무를 다할 것”이라면서 이같이 선언했다.
참석자들은 “특히 대한민국의 미래 핵심산업인 제약·바이오산업을 고사시키고 글로벌 진출의 시대적 흐름을 부정하는 방식의 약가제도는 결코 수용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사사들은 “정부가 산업 육성을 통해 보험재정을 절감하는 선순환 구조를 확립하고 산업계와 충분한 대화와 협의를 통해 합리적이고 지속가능한 정책을 수립해달라”고 촉구했다.
이날 원희목 회장은 “제약산업이 우리나라의 미래 동력산업이라는 인식은 광범위하게 확산됐지만 또 리베이트가 통용될 수밖에 없는 산업이 아니냐는 식의 생각 또한 다수 존재하는 것이 사실”이라면서 “협회장으로서 앞으로도 우리 산업의 긍정적인 요소와 환경을 극대화할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이사회는 법인 해산이나 협회비 장기체납으로 회원 의무를 할 수 없는 라보라토리신파와 씨엘팜을 회원사에서 제명했다. 이에 따라 협회 회원사는 194개사가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