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풍성’ 4차산업혁명, 인문계열 출신에겐 ‘그림의 떡’

정부 지원 창출 일자리, 이공계열이 대부분···쏠림 현상 해소 정책 필요 지적도

2017-09-08     김문경 기자

지난달 30일 오후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안산올림픽기념관에서 열린 2017 안산-시흥 청년층, 특성화고 채용박람회에서 취업 희망 학생이 채용공고 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 / 사진=뉴스1
정부가 4차산업혁명 분야 일자리 창출 정책을 집중적으로 펼치고 있는 가운데, 관련 산업 분야에서 이공계열 분야 전공 졸업자에 대한 구인 쏠림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인문계열 인력 구직난 해소를 위한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한국노동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대졸 청년층의 전공계열별 노동시장 이행실태에 따르면 전공 분야(졸업자 비중 3.9% 이상)​ 중 공학계열 전기·전자 분야 취업률은 68.1%(2015년 기준)로 가장 높았다그 뒤로는 컴퓨터·통신 분야가 뒤를 이었다

 

인문계열(42.9%)과 비교하면 20% 이상 큰 차이를 보이며 높은 취업률을 유지하고 있는 셈이다. 인문계열 전공자의 경우 노동시장에서 공학계열 전공자보다 자신에게 적합한 일자리 찾기가 힘들어지고 있다.

 

정부가 혁신창업 생태계 조성 사업이나 4차 산업혁명 및 신성장산업 육성 정책 등을 일자리 창출 정책 핵심에 두고 있다보니 공학과 자연계열 신기술 개발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공학계열 이외 분야의 전공·전문 인력 확보에는 한계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지난 2월 취업포털 인크루트가 발표한 ‘2017 채용동향에 따르면 상장사 918개 기업 중에서 공학·자연계열 학생을 뽑겠다고 밝힌 기업은 전체 34.6%를 차지했다. 하지만 인문·사회계열을 뽑겠다는 기업은 6.8%로 공학·자연계열의 5분의 1에도 못 미쳤다. 채용 예정 대졸 신입사원 전공을 못 정한 기업은 58.7%로 나타났다.

 

또 지난달 인크루트가 상장사 566개사를 대상으로 진행한 2017년 하반기 채용동향’ 조사에서는 기업의 45%가 이공계열 전공자를 뽑겠다고 밝혔다. 인문계열(4%), 교육·사회과학계열(3%)로 격차는 더욱 벌어졌다.

 

정부가 일자리 정책을 펼친지 4개월을 갓 넘긴 탓에 신규 일자리 창출이 부족한 상황이다. 다만 창출되는 일자리는 공학·자연계열 관련 직종이 대부분이라 노동시장의 수요·공급의 불일치가 지속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정부가 적극 추진하는 ‘성장유망업종 중소기업 청년 추가고용 장려금중소기업이 청년 3명을 정규직으로 채용하면 1명분 임금을 연간 2000만원 한도로 3년간 지원한다. 기업당 최대 3명분(6000만원)까지 적용된다. 

 

성장유망업종은 전기차, 로봇, 바이오헬스 등 233개 업종으로 분류되는데 지원 분야는 주로 공학·자연계열이다.​ 이에 따라 자연스럽게 이공계열 졸업자들을 기업 쪽에서도 더 선호하게 된다. 

 

정부와 일부 대학들이 인문계 전공자들을 상대로 IT, 빅데이터 교육 등 인문학과 공학 융합하는 지원 사업을 하고 있지만 그 효과는 미미한 상황이다인문계 전공자가 교육 절차를 밟아도 기업은 여전히 인문계열 전공자보다는 공학계열 전공자를 선호하는 탓이다.

 

한 벤처기업 대표는 IT 등 스타트업 기업들은 5인 이하가 대부분인데 차별화된 기술을 개발학 위해서는 공학계열 전공자를 먼저 뽑을 수밖에 없다”면서 “인문계열 전공자를 뽑을 금전적 여력도 없다고 말했다.

 

한편 고용시장에서 공학계열 분야 구인인원은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높은 미충원인원을 기록했다.

 

지난달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17년도 상반기 직종별사업체노동력조사에 따르면 전기·전자 관련직 구인인원은 상반기 기준 44000명가량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17.6%로 크게 늘었다. 이는 환경·인쇄 관련 생산단순직(18.3%)에 이어 가장 많이 증가한 수치다


다만 전기·전자 관련직 미충원인원은 5000명가량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1.1% 상승했다. 또한 정보통신(13.8%), 화학(17.6%), 기계(19.5%) 관련직 등에서도 높은 미충원율을 보였다. 미충원인원은 적극적 구인에도 채용하지 못한 인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