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새 8배’ 가상화폐 광풍, 투자 대안 될까

“가치 측정 쉽지 않아 투기적 요소 가능성 많아” vs "제도권 내 진입하고 있어 안전자산 투자처 될 것"

2017-08-22     송준영 기자

가상화폐 시장이 급격하게 확대하는 가운데 가상화폐 매매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가상화폐는 법정화폐가 아닌 탓에 정부 보증을 받을 수 없다. 게다가 가상화폐 취급업자에게 맡긴 계정 잔액은 예금보호 대상이 아니다. 또 가치 측정이 쉽지 않아 투기적 접근으로 흘러갈 수 밖에 없는 구조라는 지적이다.

반대로 투자처로서 가상화폐 시장은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라는 목소리도 있다. 이미 하루 거래량이 코스닥을 넘어서면서 대중화하고 있다. 미국에선 금융 당국 승인은 받은 가상화폐 옵션 상품이 나올 예정이다. 

 

가상화폐 자체로도 금을 대신해 안전 자산으로 분류할 수 있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이에 따라 관련 법을 정비해 법의 테두리에서 가상화폐 시장을 관리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 열기띄는 가상화폐 투자 시장···“투기적 요소 강해 투자 주의해야”

가상화폐가 투자업계 화두가 되고 있다. 한 때 반짝일 것으로 예상됐던 가상화폐 투자 열풍이 지속하고 있는 까닭이다. 심지어 가상화폐 거래량이 코스닥 시장을 넘어섰다는 통계도 나오고 있다. 

 

22일 가상화폐 거래소 빗썸은 지난 19일 하루 거래금액이 2조6018억원으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18일 기준 코스닥 시장 거래량인 2조4300억원보다 더 큰 규모다.

전체 시가총액으로 따지면 확장세는 더 뚜렷하다. 가상화폐 정보제공 업체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21일 기준 가상화폐 전체(1072개) 시가총액은 1395억달러(약 158조2627억원)로 연초 177억달러(약 20조8065억원)에서 8배 가까이 증가했다. 이는 그만큼 가상화폐 가격이 급증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 대표적인 가상화폐인 비트코인은 1년전인 지난해 8월 22일 1비트코인당 581.14달러 수준이었지만 지난 21일에는 4037달러 수준에서 거래됐다.

다만 이 같은 상황 속에서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가상화폐의 근본적인 가치에 대한 의문 때문이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오늘 가상화폐를 지급수단으로 받아들인 거래 상대방이 앞으로도 계속 그렇게 할 것이란 보장은 없다. 이런 특성 탓에 가상화폐 가치를 분석하기가 쉽지 않고 가치 급변동의 위험이 크다”고 밝혔다. 한국 정부는 가상화폐를 공식적인 화폐로 인정하지 않은 상황이다.

또 해킹 등 전산 사고나 국내·외 규제 환경의 변화가 가상화폐 가치에 부정적인 미칠 가능성도 존재한다. 특히 가상화폐 취급업자 전산시스템이 취약하면 가상화폐 금액과 거래내용 등이 기록된 고객 원장이 해킹으로 위·변조될 위험이 있다. 

 

실제 가상화폐 거래소 에니그마(Enigma)는 최근 익명의 해커그룹의 공격을 받아 47만달러 상당의 이더리움을 도난당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국내법에 따르면 가상화폐 취급업자에게 맡긴 계정 잔액은 예금보호 대상이 되지 않는다.

◇ 거스를 수 없는 흐름되나···“법적 기반 만들어 관리해야”

반대로 가상화폐에 투자 가치가 있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특히 안전자산인 금을 대신해 대체 투자 자산이 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실물 자산은 전쟁 등으로 인해 유실 가능성이 크고 가치가 급락할 확률이 높지만 가상화폐는 물리적으로는 사라지지 않는다. 가상화폐를 소지하고 있는 경우 이런 자산 붕괴의 위험을 회피할 수 있다는 계산이 가능해진다.

가상화폐를 바라보는 시각도 바뀌고 있다. 미국 옵션 거래소인 시카고옵션거래소(CBOE)가 최근 비트코인 파생상품 출시 계획을 밝혔다. 앞서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는 가상화폐 거래 플랫폼인 레저엑스에 파생상품 거래 및 청산소 운영을 허가해 금융 당국의 규정을 따르는 거래소가 탄생을 앞두고 있다. 일본의 금융정보 회사인 피스코(Fisco)는 비트코인을 담보로 한 채권을 시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한 가상화폐 거래사 관계자는 “가상화폐가 호기심의 산물로 끝날 것으로 보이진 않는다“며 “가상화폐에 대한 실제적인 우려는 일부 다단계성 가상화폐에 대한 부분이 크다. 나머지 제기됐던 거래소 보안문제나 안정성 측면은 개선이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여기에 국내에서도 법적·제도적 기반이 갖춰지면 더 안정적인 투자 수단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국내에서도 가상 화폐 거래를 둘러싼 제도적 움직임이 나오고 있다. 박용진 더불어민주당(국회 정무위원회) 의원은 지난 18일 거래소 인가제를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 법안에는 가상통화 거래 업자에 대한 인가제를 통해 진입 장벽을 설정하고 가상통화 거래 업자가 방문 판매나 다단계 판매 등을 하지 못하도록 하는 내용 등이 담겼다. 지난 20일 관계부처인 금융위원회도 기획재정부,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등과 함께 가상화폐 정부 합동 대책회의를 열어 관련 사안을 논의했다.  

 

가상화폐가 투자업계 화두가 되고 있는 가운데 우려와 기대의 목소리가 부딪치고 있다. / 그래프=시사저널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