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문건 받은 검찰, 고강도수사 예상…삼성 外 기업들도 초긴장

특수1부, 명예 회복 매진할듯…추가 국정농단 연루 기업 나올수도

2017-07-18     엄민우 기자
서울중앙지방검찰청 앞에 게양된 검찰 깃발과 박근혜 정권 민정수석실이 작성한 문건. / 사진=뉴스1, 디자이너 조현경

박근혜 정권 때 작성된 문건이 연이어 공개되며 정국이 소용돌이 치고 있다. 특히 해당 문건을 건네받은 검찰이 고강도 수사에 나설 것으로 보여 박 전 대통령과 이재용 부회장 뇌물죄 재판에 어떤 영향을 줄지 주목된다.

 

공개되지 않은 내용 가운데 일부는 국정농단과 관련, 파괴력이 적지 않은 문건으로 알려져 향후 재계를 뒤흔드는 또 다른 뇌관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청와대는 지난 14일 박근혜 정부 민정수석실이 문건을 다량으로 발견한데 이어, 17일 1361건에 달하는 문건을 추가로 발견했다. 이전에 발견한 문건보다 4배 이상 더 많은 내용이 담겼다. 해당 문건엔 삼성 승계는 물론, 세월호와 관련한 내용 등이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미 공은 검찰로 넘어갔다. 청와대는 해당 문건을 발견했다고 발표한 직후, 모든 관련 내용을 검찰로 이관했다. 검찰은 해당 문건을 곧바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뇌물죄를 수사했던 특수1부로 배당했고, 이제 수사만이 남았다.

검찰로선 해당 문건을 바탕으로 고강도 수사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는 게 사정당국 안팎의 지배적인 관측이다. 해당 내용은 이미 청와대 민정수석실이 확보한 후 검찰로 넘어간 것이다. 다시 말해 검찰은 이미 청와대 민정수석실이 모든 내용을 파악하고 있는 상황에서 수사에 착수한 셈이다. 미진한 수사가 이뤄질 수 없는 상황이다. 

 

한 정치권 핵심 관계자는 “사실상 청와대가 공식적으로 해당 문건을 증거자료로 제공한 셈이나 마찬가지​라며 ​검찰로서는 여간 신경이 쓰일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검찰이 개혁대상으로 떠올라 명예회복을 해야 하는 입장이라는 점도 고강도 수사를 예상하는 데 무게가 실리는 대목이다. 한 사정기관 관계자는 “굵직한 건들이 많이 걸린 특수부로선 제대로 된 수사 결과물로 인정을 받고 싶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해당 문건을 받은 특수1부는 부영그룹을 비롯한 대기업 고발 건들을 비롯한 민감한 사건들을 처리해야 하는 상황이다. 청와대로부터 공식적으로 국정농단 관련 자료를 건네받아 민정수석실과 호흡을 맞출 수 있는 이번 수사를 기회로 삼아 명예를 되찾는데 매진할 가능성이 크다.

법조계 및 재계에선 청와대가 공개한 극히 일부 문건 내용들보다, 아직 발표되지 않은 것 중에 정작 민감한 내용이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공개해도 문제가 되지 않을 것들만 공개했다는 해석이다.

 

뇌물죄 재판을 치르고 있는 이재용 부회장 측으로선 어떤 내용이 담겨있을지 모르는 까닭에 재판을 치르기가 더 어려워졌다. 상대방의 패를 모르는 상황과 마찬가지기 때문이다.

특히 고강도 수사가 예상되면서 재판을 받고 있지 않은 다른 기업들도 긴장하는 눈치다. 한 재계 관계자는 “분명 비공개 내용 중 민감한 것들이 많을 것이고, 해당 문건에 대해 검찰이 상당히 강하게 나올 것 같다”며 “회사 관련 내용이 혹시 있는지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수사가 본격적으로 진행되면 면세점 비리 및 사면 등과 관련해 추가로 국정농단 연루 기업이 등장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