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경제사절단, 민간 주도로 실리 챙겼다
규모 및 대미 사업연관성 등 합리적 평가…현안 조율 효과적 인사들로 꾸려져
문재인 대통령과 함께 미국을 방문할 경제인 명단이 공개됐다. 박근혜 정권때와 달리 민간 주도로 구성된 이번 사절단은 특히 보여주기 식보단 실제 미국 사업 연관성에 초점을 두고 적정 인원으로 구성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박용만)는 문재인 대통령의 미국 방문에 동행하는 경제인 명단을 23일 발표했다. 박용만 대한상의 회장을 비롯해 권오현 삼성전자 부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 부회장, 최태원 SK 회장, 구본준 LG 부회장, 허창수 GS 회장, 신현우 한화(한화테크윈) 대표이사,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 손경식 CJ 회장, 구자열 LS 회장 등 52명이 문재인 대통령 미국 방문길에 동행한다.
이번 경제사절단은 모집단계에서부터 민간인 대한상의 주도로 꾸려졌다는 점에서 박근혜 정권 때와 차이가 있다. 전 정권 때는 산업통산자원부가 칼자루를 쥐고 동행할 경제인들을 조율했다. 이 때문에 당시엔 기업 스스로의 필요성이 아닌 정부의 입김이 더 크게 작용했다는 불만도 일부에서 불거졌다.
재계에선 이번 사절단 면면이 단순히 구색 맞추기가 아닌 실제 비즈니스 현안을 조율하는 데 효과적인 인사들로 꾸려진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대한상의는 경제인단 선정 주관기관으로서 대미 교역, 미국 사업실적 및 사업계획, 첨단 신산업 분야 협력 가능성을 중점으로 협회나 단체가 아닌 기업 위주로 사절단을 구성했다. 아울러 현재 불법․탈법행위로 사회적 물의를 크게 빚고 있는 기업은 원칙적으로 참여를 제한했다. 경제사절단의 원래 취지를 살리면서 운영의 묘를 발휘했다. 정부 눈치를 보지 않고 민간 스스로 필요성을 따져 인원을 선발했기에 가능한 일이다.
대표적인 실리 사절단으로 꼽히는 곳은 한화다. 한화는 그룹이 아닌 계열사 한화테크윈의 신현우 대표이사가 방미사절단에 포함됐다. 재계 관계자는 “한화테크윈은 항공기 엔진 관련 사업 등 미국 시장과 밀접한 사업을 많이 해 이번 사절단에 대표로 포함된 것으로 안다”고 분석했다.
현대차는 원래 정몽구 회장이 참석하는 것을 검토했으나 정의선 부회장이 가는 것으로 최종 확정했다. 최근 활발하게 글로벌 대외활동을 하고 있는 정 부회장은 미국 재계 인사들을 접촉하며 여러 현안들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정 부회장이 정몽구 회장 대신 경제사절단에 포함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규모 면에서도 박근혜 정권 때에 비해 적정한 수준이란 평가가 나온다. 2015년 10월 박근혜 정부는 역대 최대 규모인 166명 규모의 방미 경제사절단을 꾸렸다. 이번 경제사절단은 숫자에 목매지 않고 실용에 중점을 두고 구성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이번에 미국을 방문하는 52개 기업 관계자들은 현지에서 다 같이 티타임도 가질 예정”이라고 전했다.
한편 이번 사절단엔 주한미국상공회의소(AMCHAM) 소속인 한국GM, 한국3M도 포함돼 눈길을 끌었다. 대한상의는 미국상공회의소와 공동으로 이달 28일(현지시간) 워싱턴 D.C에서 ‘한·미 비즈니스 서밋’을 개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