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타2엔진 자발적 리콜 기습발표는 물타기"

박용진 의원 “자발적리콜로 약 2조원 비용 절감”

2017-04-10     박지호 기자

세타2 엔진 결함부위 / 사진=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국토부)가 세타2 엔진 자발적 리콜를 승인한 것은 현대자동차 봐주기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국회 정무위 소속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국토부가 강제 리콜 대신 자발적 리콜을 승인함에 따라 현대차가 리콜 대상과 범위를 입맛대로 정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현대차는 그랜저쏘나타, K5 5개 차종의 세타2 엔진에 제작 결함이 있다며 17만대가량을 리콜하겠다고 7일 밝혔다

   

박용진 의원은 10일 국회서 국민을 저버리고 현대차의 이익에 봉사하는 국토부’라는 제하의 기자회견을 갖고 “국토부가 지난주 금요일(7일) 오후 현대차 자발적 리콜을 기습적으로 발표한 것은 전형적인 물타기라고 주장했다 

   

현대차는 정부 명령이 아닌 자발적으로 리콜을 시행한다고 7일 ​밝혔다. 이와 관련 전날 6일 국토부에 리콜 계획서를 제출했다리콜 대상은 2013년 8월 이전 생산된 세타2 엔진 장착 차량으로 그랜저 11만 2670쏘나타 6920, K7 3만 4153, K5 1만 3320스포티지 5401대다그간 세타2 엔진은 소음진동주행 중 시동 꺼짐 등 문제가 꾸준히 제기되어왔다 

   

이번 리콜은 늑장 리콜이라는 이유에서 비판받고 있다현대차는 2015년 세타2 엔진 결함으로 미국서 대량 리콜을 실시했다당시 현대차는 국내 차량은 문제 없다”며 국내 리콜을 일축했다. 그러나 국토부 제작결함심의의원회가 20일 조사 결과를 발표하려 하자 현대차가 자발적 리콜을 결정했다.  

   

‘자발적 리콜’도 쟁점이다박 의원은 국토부가 현대차 자발적 리콜을 받아들임으로써 현대차 리콜 범위를 줄여줬다고 본다자발적 리콜은 강제 리콜과 달리 제조사가 리콜 범위와 대상을 정한다. 그는 자발적 리콜을 승인함에 따라 현대차는 해주고 싶은 차량만 입맛대로 리콜 할 수 있게 된다”며 “79만대 세타2 엔진을 교환하려면 2조원가량 든다. 현대차는 일부 차량 엔진만 교환하고 2조원 비용을 아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또 국토부가 세타2 엔진 결함 문제를 방치해왔다고 주장했다세타2 엔진이 장착된 현대차 일부 모델에서 엔진 소착(마찰열로 인해 접촉면이 달라붙는 현상)으로 인해 주행 중 시동 꺼짐 현상이 발생한다는 언론 보도와 소비자 신고가 이어졌다. 국토부는 ​지난해 10월에야 제작결함 여부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박 의원은 국토부 조사는 지지부진하고 시원찮았다”며 공익제보자가 결함을 입증할 내부 문서를 제공했음에도 수개월간 결론을 내리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국토부는 이달 20일 예정된 제작결함심의위원회를 개최하지 않는다이에 박 의원은 ▲국토부가 20일 제작결함심의위원회를 개최해 강제 리콜 결정을 내릴 것 국무총리실 공직복무관리실과 감사원의 국토부 감찰 범정부 차원의 제작결함 진상 규명 TF(태스크포스설치를 주문했다. 

   

그는 마지막으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국민안전이다교통안전공단이 국토부에 제출한 조사결과보고서 일체와 현대차 리콜 계획서 일체 등 국토부에 관련 자료 제출을 요청함과 동시에 진상을 규명할 수 있는 국회 차원의 모든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