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지원금’ 수혈받은 국내 친환경차 시장 ‘기지개’
연내 친환경차 10만대 보급 가능성 커져…“구매 수요 지속 방안 마련해야”
2017-02-21 배동주 기자
국내 친환경차 시장이 빠르게 커지고 있다. 정부가 올해 하이브리드와 전기차 등 친환경차 구매 혜택을 대폭 확대한 데 이어 완성차 업체가 잇따라 친환경 신차를 선보이고 있어서다. 소비자들도 덩달아 바빠졌다. 친환경차 보급 확대 이후에는 정부 혜택이 줄어들 가능성이 커 올해가 구매 적기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지난달 국내 친환경차 시장은 월별 판매량 기준 역대 최고치인 4237대를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42.2% 늘어난 판매량이다. 국내 친환경차 시장 규모가 누적 판매량에서 지난해 이미 전년보다 2배 가까이 커진 것을 고려하면 올해 들어 성장 속도가 더욱 빨라진 셈이다.
특히 기아자동차는 지난달 친환경차 1795대를 판매하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배가량 판매량이 증가했다. 지난달 수입 친환경차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배 이상 성장했다. 수입 하이브리드차 판매량은 1435대로, 지난해 1월 671대의 2배를 웃돌았다. 지난해 1월 4대 판매에 그쳤던 수입 전기차 역시 지난달 34대로 늘었다.
환경부 관계자는 “친환경차 보급 확대를 위해 올해 여느 때보다 다양한 지원책을 내놨고, 완성차 업체가 각종 신차를 출시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하면서 소비자 관심이 높아졌다”면서 “올해는 초소형 삼륜 전기차를 포함해 매달 한 대꼴로 10종 넘는 친환경차가 출시될 예정이라 친환경차 10만대 보급도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실제로 환경부는 올해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당 97g 이하인 하이브리드차에 대한 보조금(100만원) 수혜 차량을 5만대로 확대했다. 여기에 플러그인하이브리드와 수소차에도 보조금 100만원을 각각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이밖에 공채 면제와 최대 140만원까지 등록비 감면 혜택을 제공한다.
전기차에 대한 정부 지원 규모는 더욱 크다. 정부는 사업자가 운영하는 급속충전기 사용요금을 ㎾h당 173.8원으로 44% 가량 줄였다. 가정에서 전기차 충전 시 충전 요금의 50%를 할인해 주는 특례요금제도 3년 동안 시행된다. 이에 1만5000㎞에 달하는 거리를 달려도 전기요금은 13만~14만원에 그칠 전망이다.
올해 들어 전기차 취득세 감면 한도 또한 140만원에서 200만원으로 올랐다. 보조금은 국고(1400만원)와 지방비(300만~1200만원)을 합해 지자체별로 1700만원에서 2600만원까지 받을 수 있다. 보조금을 주는 지자체도 지난해 31곳에서 올해 101곳으로 크게 늘었다. 공공 급속충전기는 1201기로 두배 이상 확충된다.
◇ 완성차 업체 “물 들어올 때 노 젓자”
상황이 이렇게 되자 국내·외 완성차 업체가 판매 확대에 열을 올리고 있다. 지난해 하이브리드 전용 모델인 소형 SUV 니로를 앞세워 국내 친환경차 시장 판매 1위에 이름을 올린 기아차는 올해 니로 플러그인하이브리드를 출시해 시장 수성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판매 조건도 친환경차를 중심으로 강화했다.
기아차는 K5 플러그인하이브리드(100만원)와 하이브리드(150만원) 구입 가격을 할인해 주고, 기존 친환경차 보유 소비자가 기아차 친환경차를 구입하면 30만원을 추가로 할인해 준다. 이에 맞서 현대차는 이달 들어 친환경차인 아이오닉 하이브리드, 쏘나타 하이브리드, 쏘나타 플러그인하이브리드, 그랜저 하이브리드 구매 시 최대 300만원을 할인해준다는 방침이다.
이에 대해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정부가 친환경차 구매 혜택을 강화하면서 성장세가 이어지고 있지만 예산 쏟아 붓기를 지속할 수 없는 만큼 추후 친환경차 구매 수요를 이어갈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면서 “전기차의 버스 전용차로 진입과 같이 조금 더 실질적인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