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重노조 “고용보장? 1년 뒤 어쩌라고…”
사측 고용 보장 약속에 노조 불신 드러내…분사 갈등 장기화될 듯
경영난에 사업 분할을 꾀하고 있는 현대중공업이 분할 이후에도 모든 근로자의 고용과 근로조건을 100% 승계한다고 밝혔다. 법인 분사에 따른 노동조합과 근로자들이 느끼는 고용 불안과 반발을 달래기위한 처사다. 하지만 노조 측은 여전히 “사측의 주장을 믿을 수 없다”는 입장이어서 갈등이 장기화될 전망이다.
7일 현대중공업은 내부 소식망을 통해 “사업 분할은 불안한 일이 아니다. 모두 영원한 현대중공업 그룹 가족”이라며 “사업 분할은 유례없는 위기 상황에서 경쟁력 확보와 생존을 위한 길이며, 모든 근로자의 고용과 근로조건은 100% 승계한다”고 밝혔다.
현대중공업은 7일 “현 구조에서는 모든 투자가 매출 비중이 큰 조선·해양 위주로 이뤄지고 비조선은 소외될 수밖에 없다”며 사업 분할 타당성을 역설했다. 더불어 “분리 후 경영상황이 나빠져서 다른 회사로 넘어갈 것이라는 등의 우려는 하지 않아도 된다”고 약속했다.
앞서 현대중공업 사측은 로봇·자동화(현대로보틱스), 건설장비(현대건설기계), 전기전자시스템(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을 별도 법인으로 분사할 계획을 마련했다. 재무 건전성 제고와 비조선 부문 경쟁력 강화가 분사 목적이다. 분사는 지난해부터 본격 추진 중인 자구안 이행의 일환이다.
하지만 노조는 사측의 분사 결정에 반대하고 있다. 사업 분할이 진행될 시, 인력 구조조정이 가속화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현대중공업은 구조조정 저지를 위해 지난해 12월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산하 금속노조 가입을 확정하면 반발 수위를 높였다. 노조는 민주노총과의 연대 투쟁을 선언하기도 했다.
사측이 ‘노조 달래기’를 위해 ‘100% 고용 보장’이라는 카드를 내놨지만 노조는 여전히 사업 분할을 반대하고 있다. 노조는 사측이 사업 분할 추진을 위해 고용 보장 카드를 내놨지만, 분사 1년 뒤까지 고용 보장이 이뤄질지는 미지수라는 입장이다.
7일 현대중공업 노조 관계자는 “회사가 사업 분할하면 지금 당장은 고용이 수평 이동이 될테지만, 분사 1년 이후에는 어떻게 될 지 모른다”라며 “노조가 ‘회사에게 근로조건을 현재 그대로 유지해줄 수 있겠느냐’고 물었지만 사측은 ‘1년 이후에는 (사업이) 어떻게 될지 모르는데 지금 당장 어떻게 보장하느냐’는 입장을 내놨다. 1년 뒤 직원이 잘려나가도 회사 책임은 없다는 태도”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