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투자 내리막길…표류하는 한국경제
올해 부동상 경기 위축으로 하강국면 돌입할 전망…거시경제 동반 하강 우려 제기돼
2017-01-26 최형균 기자
지난해 매분기 한국경제를 지탱해 온 건설투자가 4분기 들어 역성장했다. 토목수주 감소가 가장 큰 이유다. 전문가들은 올해 건설투자가 예년 수준으로 회복하지 못할 가능성을 지속적으로 제기하고 있다.
2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건설투자는 전년 동기 대비 11.8%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1991년과 1993년 분당, 일산 등 수도권 5대 신도시 조성 이후 25년 만에 기록한 역대 최대치다. 건설투자 증가율에 호응해 건설업 부문도 11%로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건설투자는 매년 급성장했다. 지난 2012년 –3.9%를 기록한 뒤 ▲2013년 5.5% ▲2014년 1.1% ▲2015년 3.9% ▲2016년 11.8%로 상승세를 보였다. 2015년말부터 시작된 부동산 규제완화 기조가 건설투자를 이끌었다.
건설투자는 지난해 경제성장률(2.7%)을 뒷받침한 든든한 기반이었다. 국내총생산(GDP) 지출계정(민간소비, 정부소비, 설비투자, 수출, 수입 등 8개 항목) 중 건설투자는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아울러 두 번째로 기여도가 높은 정부소비(3.9%)와 비교해도 3배 가량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SOC 예산 감축, 부동산 시장 규제강화, 미국 추가 금리인상 등의 악재로 건설투자 감소가 불가피한 것으로 보여 거시경제도 동반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제기한다.
지난해 하반기 들어 건설투자가 위축되는 전형적인 ‘상고하저’ 흐름이 나타났다. 상반기 건설투자는 9.9% 증가했으나 하반기 들어 건설투자는 1.8% 증가하는 데 그쳤다. 4분기에는 –1.7% 역성장하는 모습까지 보였다.
한은 측에 따르면 토목건설이 줄어 4분기 건설투자가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했다. 건설투자 절벽이 발생해 지난해 경제성장률도 2.7%에 그쳤다.
◇ 올해도 건설투자 위축 전망…저성장 고착화 우려
지난해 4분기에 이어 올해도 건설투자 위축이 이어질 전망이다. 이로 인해 경제성장률 하락도 우려되고 있다.
비관적 전망의 근거는 부동산 시장 경기악화 우려다. 건설투자는 공사 진행 시 임금, 장비대여금을 포함한다. 분양시장 호황을 바탕으로 건설투자 역시 급등한다. 다만 11.3 부동산 대책 여파,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사회간접자본(SOC) 예산 축소, 미국 추가 금리인상 가능성 등 올해 부동산 시장에 여러 악재가 산재했다.
실제 각종 건설경기 지표는 이미 하락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주택 종합 인허가 실적은 전국 72만6000여가구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76만5000여가구) 대비 5.1% 감소한 수치다. 아울러 주택 종합 착공실적은 전국 68만5000여가구로 같은 기간 8.2% 감소했다. 두 지표는 대표적인 건설경기 선행, 동행지표다. 올해 들어 건설투자 감소를 예측할 수 있는 대목이다.
문제는 건설투자가 거시경제 하강까지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이다.
한은에 따르면 건설투자는 지난해 매분기 GDP 성장기여율의 절반 가량을 차지했다. 사실상 지난해 경제성장을 건설투자가 이끈 셈이다. 앞서 연구기관이 예측한 올해 경제성장률은 지난해(2.7%) 대비 낮은 2.1~2.5%대다. 건설투자 감소를 연구기관은 주된 이유로 제시하고 있다.
김창배 한국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건설투자가 지난해까지 매우 좋았다. 다만 건설투자를 뒷받침한 부동산 시장이 조금씩 위축되고 있다. 이에 건설투자도 동반 하락하는 상황이다”며 “정부의 (부동산) 공급과잉 해소 정책, SOC 예산 축소 등 악재로 건설투자는 올해 위축될 것 ”이라고 말했다.
또한 김창배 연구위원은 “건설투자가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5~20% 정도다. 이에 건설투자 위축으로 올해 경제성장률도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며 “올해 경제성장률은 2%대가 불가피하다. 최악의 경우 2% 미만을 기록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