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부, 4차산업혁명에 4조원 투입

원천연구·R&D 기반 조성·인력 양성 포함…연구자중심 연구지원 강화

2017-01-02     정지원 기자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이 제4차 산업혁명, 대한민국의 미래 토론회에서 축사하고 있다. / 사진=뉴스1

정부가 4차산업혁명 대응을 본격화한다. 바이오, 인공지능 등 미래유망산업 중심으로 예산지원을 대폭 늘렸다. 올해 예산만 4조1335억원 규모로 ​사업 내용은 기초연구(8866억원), 원천연구(2조1841억원), R&D 사업화(1982억원), 인력양성(1501억원), R&D 기반조성(7145억원) 분야 등이다.

 

미래창조과학부는 2일 과학기술·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연구개발(R&D)사업 종합시행계획을 확정발표했다. 종합시행계획은 미래부 전체 R&D 예산 6조 7730억원 중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직할 출연연구기관 연구운영비 등을 제외하고 과학기술 분야 3조1439억원, ICT 분야 9896억원을 대상으로 했다.


과학기술·ICT 분야 R&D사업 종합시행계획은 지능정보기술 등장을 배경으로 산업간․기술간 경계가 모호해지고 융합이 더욱 활발해지는 4차 산업혁명의 도래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R&D 혁신과 K-ICT 전략 등 기존 과학기술․ICT 정책의 현장 착근을 가속화할 수 있도록 연구자 중심 연구지원 강화, 개방형 R&D 생태계 고도화, 미래 유망 분야 투자 확대가 골자다.

먼저 연구자 중심 연구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창의적․도전적 연구 풍토가 조성될 수 있도록 연구자가 연구 주제를 자유롭게 선정하는 자유공모형 R&D를 확대한다.

투자 분야 설정과 과제 기획 등의 R&D 정책 결정과정에서도 정부 - 연구자의 협업 체계(Governance)를 구축해 투자분야 설정을 위한 연구자 수요 조사를 강화하는 한편, 과제 기획에 있어서도 연구계는 물론 산업계, 학계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와 SNS를 통한 아이디어 수렴 등을 통해 ‘개방형 기획’이 더욱 활성화된다.

개방형 R&D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창의적 R&D 인재들에게 생애 첫 연구 지원을 신설(300억원)하고, 장기․안정적인 연구가 가능하도록 후속연구에 대한 지원을 확대한다.

이공계 대학(원)생 중심의 기업의 실전문제 해결, 산학연 컨소시엄을 통한 차세대 공학인 육성 등을 위한 이공계 전문기술 인력 지원을 두배 확대한다.

미래유망분야 투자에선 신약 초기 파이프라인 기술 확보와 신개념 의료기기 개발을 위한 바이오 분야 원천기술개발 투자를 크게 확대할 방침이다.

창의적 소재 연구를 장려하는 도전형 연구개발 등 나노 분야 투자와 기후변화 대응 기술개발을 위한 투자도 크게 늘린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동인이 될 인공지능 및 ICBMS(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컴퓨팅(Cloud), 빅데이터(Big Data), 모바일(Mobile), 정보보호(Security)) 등 ICT전략분야 및 응용․연계 기술개발에 대한 투자도 확대된다.

먼저 언어지능 및 시각지능 등 실용화 제품 개발을 포함한 인공지능 분야와 딥러닝 등 차세대 지능정보 처리 등을 위한 기반 SW 컴퓨팅에 대한 투자를 200억원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초연결 시대의 핵심 인프라가 될 IoT 등 융합 서비스 예산 규모를 100억원 늘리고 안전한 지능정보사회 구현을 위한 정보보호 분야 투자도 130억원 확대한다.

한편 지난해 선정(8월)한 9대 국가전략프로젝트 추진도 본격화된다.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자율주행차, 경량소재, 스마트 시티, 인공지능, 가상증강현실 프로젝트와 삶의 질 제고를 위한 미세먼지, 탄소자원화, 정밀의료, 바이오 신약 프로젝트 등에 총 281억원(미래부 소관 예산액 기준)이 투자된다.

미래부 관계자는 “2017년도 과학기술·ICT 분야 R&D사업 종합시행계획은 지능정보 기술 등이 촉발하는 제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과학기술‧ICT R&D의 전략적 투자를 도모하고 R&D 성과 창출 및 확산을 위한 R&D 생태계 고도화를 위한 청사진이 될 것”이라면서 “과학기술․ICT 분야 R&D 투자가 적기에 이루어지고, 소기의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현장과의 소통도 더욱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