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전기차 AtoZ]② 2세대 전기차 시대, 정부 정책도 힘 실려

1회 충전 주행가능거리 300km 상회…“전기차 누적보급대수 올해 3만대로 성장"

2017-01-02     배동주 기자

올해가 국내 전기차 시장 확대 원년이 될 전망이다. 1회 충전 주행가능거리가 늘어난 이른바 2세대 전기차 출시가 예정돼 있기 때문이다. 150~200㎞에 불과했던 1세대 전기차와 달리 2세대 전기차는 1회 충전으로 300km 이상을 달릴 수 있다.

그동안 국내 전기차 시장은 전기차 자체 경쟁력 부족으로 인해 높은 보조금과 환경에 대한 인식 변화에도 불구하고 성장 폭이 크지 않았다. 하지만 정부는 2세대 전기차 주행거리를 바탕으로 전기차 급속충전기를 늘리고 충전 요금 할인 등을 통해 전기차 대중화 시대를 앞당긴다는 방침이다.

2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세계 1, 2위 전기차 제조회사인 중국 BYD와 미국 테슬라가 올해 국내에 상륙할 예정이다. 한국GM 역시 1회 충전 주행거리가 383.17㎞에 달하는 볼트EV를 상반기 국내 시장에 내놓는다는 계획이다. 르노삼성 전기차 트위지도 올해 초소형 전기차 효용성 검증에 돌입한다.

◇ 신차 효과 얻는 전기차 시장

업계에서는 자동차 시장이 신차를 딛고 성장하는 만큼 전기차 시장 판매량 증가는 당연할 것이라고 보고 있다. 5년째 답보 상태에 머물렀던 국내 전기차 보급이 지난해 1만대로 급증한 것도 현대차 아이오닉 일렉트릭 가세에 기반을 뒀다.

환경부에 따르면 2011년 시작된 전기차 보급은 2015년까지 6000대를 넘지 못했다. 다만 현대차 아이오닉 일렉트릭은 지난해 7월 출시 이후 12월까지 3400대가 팔렸다. 전기차 누적 보급 대수는 단숨에 1만1337대로 뛰어올랐다.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공공기관 구매가 주를 이루는 정부 보급을 제하더라도, 시장 구매 수요는 테슬라, BYD 등 신차로 몰리고 있는 상황”이라며 “올해 경쟁력 있는 전기차가 연이어 출격하는 만큼 전기차 시장 성장 곡선은 더욱 가팔라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실제로 상반기 국내 출시가 예정된 테슬라 전기차 모델S 90D는 모델X, 모델3와 함께 지난해 8월부터 사전 예약을 받고 있다. 모델S 90D는 1회 충전으로 512㎞를 주행할 수 있다. 다만 충전 속도 등으로 인해 국내 친환경차 인증을 받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한국GM이 올해 상반기 출시 예정인 2세대 전기차 볼트EV. / 사진 = 한국GM


반면 한국GM은 지난해 12월 볼트EV가 환경부로부터 383.17km의 1회 충전 주행거리를 인증받았다고 밝혔다. 서울에서 부산까지 배터리 추가 충전 없이 주행할 수 있게 된 셈이다. 제임스 김 한국GM 사장은 “합리적인 가격의 볼트EV 출시로 전기차 대중화의 원년을 이끌 것”이라고 말했다.

BYD 국내 진출 역시 자극제 역할을 할 전망이다. BYD의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전기차 탕은 1회 충전으로 300km를 주행할 수 있다. 가격은 23만위안(약 3900만원) 수준이다. 올해 국내 최다 판매 모델인 현대차 아이오닉 일렉트릭보다 1회 충전 주행가능거리가 길고 가격은 더 저렴한 셈이다.

◇ 정부 지원정책도 호재

전기차 생산 선두 업체의 신차 출시에 대응해 국내 완성차 업체는 정부 정책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현대차는 전기차 생산 물량을 늘려 정부가 추진하는 전기차 카셰어링(차량 공유) 상품에 아이오닉 일렉트릭을 공급하고 있다.

정부가 올해 수도권 소재 231개 행정·공공기관의 저공해차 의무구매비율을 상향 조정한 것도 국내 완성차 업체에 호재다. 환경부가 수도권 공공기관의 저공해차 의무구매비율을 30%에서 50%로 확대한 만큼 여기에 동원되는 전기차 대부분이 국내 생산 차량으로 구성될 전망이기 때문이다.

르노삼성 관계자는 “상반기 관공서와 지자체를 중심으로 초소형 전기차 트위지를 보급할 계획”이라며 “지자체 물량이 얼마나 될지 알 수 없어 정확한 판매 목표 대수를 설정하지는 않았지만, 지난해보다 전기차 판매량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전기자동차 충전기 보급 실적‧계획. / 표 = 환경부

올해 국내 전기차 시장은 누적 보급 기준 3만대 규모로 지난해보다 3배 가까이 성장할 것이라는 게 업계 분석이다. 정부 보급 목표치 1만4000대에 더해 2세대 전기차 자체 경쟁력에 따른 시장 수요가 반영된 결과다.

이에 환경부는 올해 6월까지 급속충전기를 1915대까지 늘린다는 계획이다. 전기차 3만대 보급을 가정했을 때 급속충전기 1기당 전기차 대수를 15.6대로 일본의 11.8대에 근접하게 하기 위해서다.

1200만원이던 전기차 구매 보조금도 지난해 7월 이후 1400만원으로 200만원 늘렸다. 평균 500만원에 달하는 지방자치단체 보조금을 더하면 1900만원을 할인 받을 수 있다. 전기차 충전 요금도 올해부터 3년간 50% 할인된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전기차 차종이 늘어나는 것은 구매할 수 있는 전기차가 늘어난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며 “보조금에만 기댔던 전기차 구매 유도가 제품 경쟁력으로 인해 확대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