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 R&D 비중, 글로벌 기업의 76% 수준 그쳐
자동차·식음료·철강은 격차 더 벌어져…IT 는 96%로 글로벌 수준 근접
국내 업종별 상위 10대 기업의 매출 대비 연구개발 비용 비중이 글로벌 10대 기업 대비 76% 수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는 국내 대표 7개 업종에 속한 10대 기업의 3분기 말 기준 매출 대비 R&D 비중을 조사한 결과 글로벌 10대 기업의 76.1%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 74.0%에 비하면 소폭 상승한 수준이지만 글로벌 기업들에 비해서는 여전히 낮은 상황이다.
이번 조사는 IT전기전자·석유화학·철강·자동차·자동차부품·식음료·제약 등 7개 업종 국내 63개사와 글로벌 62개사를 대상으로 했다.
R&D 비중은 업종별로도 격차가 컸다. IT 전기전자의 경우 국내 10대 기업 R&D 비중이 글로벌 10대 기업 대비 96.1%로 큰 차이가 없었다. 특히 90.5%였던 지난해에 비해서도 5.6% 포인트가 증가하며 간격이 더욱 좁혀졌다. 제약업도 88.8%로 양호한 수준이었다. 지난해 87.0%에서 1.8% 포인트 상승했다. 석유화학은 84.1%로 지난해 90.0%에서 5.9% 포인트 떨어졌다.
이들 업종에 비해 자동차·식음료·철강은 R&D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다. 국내 자동차 기업들의 매출 대비 R&D 비중은 세계 10대 기업의 81.3%였으나 올해는 78.4%로 낮아졌다. 식음료도 72.7%에서 67,7%로 하락했다. 철강업은 지난해 41.2%에서 올해는 38.9%까지 떨어졌다. 자동차부품은 50.6%로 지난해 49.8%와 비교하면 소폭 상승했지만 여전히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기업별로 보면 편차가 매우 컸다. 삼성전자는 올해 3분기까지 1345억 4300만 달러 매출에 R&D 비용으로 100억 9200만 달러를 집행했다. 매출 대비 R&D 비중이 7.5%에 달했다. 반면 애플은 1687억 8700만 달러의 매출에 R&D비용으로 74억 7500만 달러를 집행했다. 비중으로는 4.4%였다. 삼성전자의 매출 대비 R&D 비중이 애플의 169.4%에 달하는 셈이다.
석유화학 업종 대표 기업인 SK이노베이션 역시 전세계 매출 1위인 시노펙차이나(Sinopec-China Petroleum)를 앞질렀다. SK이노베이션의 매출 대비 R&D비중은 0.4%, 시노펙차이나는 0.3%였다.
국내에선 이들 두 기업을 제외한 나머지 업종별 국내 1위들은 R&D 비중이 세계 1위 기업 대비 크게 낮았다. 포스코의 R&D 비중은 세계 1위 신일본제철주금(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대비 63.5%에 머물렀다. CJ제일제당 R&D 비중은 1.0%로 네슬레(1.9%) 대비 54.5%에 그쳤다.
토요타 R&D 비중이 4.1%인데 반해 현대차는 2.2%에 그쳐 토요타의 54.2% 수준에 불과했다. 제약업에서도 유한양행 R&D 비중은 세계 1위 기업 존슨앤존슨(Johnson&Johnson)의 53.8%에 그쳤다. 자동차부품업종에서도 현대모비스 R&D 비중은 글로벌 1위인 보쉬(Robert Bosch GmbH)와 비교할 때 19.8% 수준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