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경제대예측]④ 더 빨라질 미국 금리인상
내년 세차례 추가 인상 전망…침체 경제·위험수위 가계부채에 설상가상 충격파
미국이 예상대로 14일 오후(현지시간, 한국시간 15일 새벽) 막을 내린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인상을 단행했다. 위원 10명의 만장일치로 기준금리를 현행 0.25%~0.50%에서 0.50%∼0.75%로 0.25%포인트 인상을 결정한 것이다. 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 의장은 1개월전 "FOMC가 금리 인상을 너무 오랫동안 지연시키면 경제가 목표보다 과열되는 것을 막기 위해 갑작스럽게 긴축정책이 시행될 수도 있다"며 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한 바 있는데 예고대로 실행된 셈이다.
미국의 이번 기준금리인상은 2008년 세계 금융위기 이후 제로금리를 유지하다가 지난해 12월 0.25%의 금리 인상을 단행한 이래 1년 만의 조치다. 고용시장 개선과 물가상승 전망, 소비심리 개선, 기업인 출신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에 따른 경제성장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로 분석된다.
미국이 금융위기이후 지속해온 양적 완화 정책 기조에서 벗어나 거품 단속에 본격적으로 나선 신호탄으로 볼 수 있다.
이제 관심은 이런 금리인상이 내년에는 얼마나 빠른 속도와 폭으로 단행될 것이냐에 쏠리고 있다. 당초 미 연준은 올해도 여러 차례 금리를 올리겠다는 의지를 보였지만 브렉시트(Brexit•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등의 돌발 이슈가 터지면서 결국 한차례만 실행하는데 그쳤다.
내년 1월 20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출범하면 금리 인상에 속도가 붙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기업에 대한 감세 정책과 인프라 투자 등이 겹치면서 미국 경제가 더 활기를 띄고 물가 상승세가 탄력을 받으면 자연히 금리 인상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예측에 근거를 두고 있다.
옐런 의장도 이런 관측을 뒷받침하듯 이번 금리인상 직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연준 위원들은 내년에 세 차례 정도 금리 인상이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앞서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이코노미스트 62명을 상대로 실시한 설문 조사에서도 이런 예측이 우세했다. 이들 전문가들은 내년 12월에는 기준금리가 1.26%, 그 1년뒤인 2018년 말에는 2.07%로 이번에 조정된 0.50%∼0.75%에 비해 향후 2년동안 매년 0.75%포인트 정도씩 인상될 것으로 내다봤다.
세계가 미국의 금리인상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것은 두말할 필요도 없이 세계 금융시장에 큰 파장을 불러 오기 때문이다. 한은이 지난달 21일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이후 처음으로 1조 2700억원어치의 국고채 매입에 전격적으로 나선 것도 미국 금리인상을 앞둔 시장의 불안정한 흐름에 대응하려는 조치였음을 보더라도 그 파장을 가늠해볼 수 있다. 자본 유출 우려속에 국고채의 가격 하락(국고채 금리 상승)이 가파르게 나타나 이를 진정시킬 필요성을 느낀 때문이다.
미국의 금리인상으로 신흥국들은 이런 자본유출을 걱정해야 할 처지다. 미국 대선 이후 터키 리라와 멕시코 페소화 가치는 이미 사상 최저 기록을 갈아치웠다. 내년에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속도가 빨라지면 신흥국으로부터의 자금 유출도 가속화될 가능성이 크며 그만큼 전 세계 금융 시장의 불안정성도 커질 수 밖에 없다.
신흥국만이 동요하는 것이 아니다. 일본 엔화 가치도 11월 한 달 동안 달러화 대비 8.4% 떨어졌고 중국 위안화도 추락에 추락을 거듭하고 있다.
한은의 고민도 크다. 한은 금통위는 지난 6월 기준금리를 연 1.50%에서 1.25%로 내린 뒤 7월부터 12월까지 연속으로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침체를 지속하는 경제상황을 감안하면 금리를 내려야 한다.한국개발연구원(KDI)도 기준금리 인하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등 일각에서는 더 완화적 통화정책을 펴야 한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 금리 인상 이후 자본유출을 막기 위해서는 우리나라도 기준금리를 올려야 한다. 더구나 내년 미국의 금리인상 속도가 올해보다 빨라질 것이란 전망이 우세한 상황이어서 한은의 고민은 깊어질 수 밖에 없다.
금리를 올리면 경기에 미칠 부정적인 영향과 함께 이미 1천300조원을 넘어선 가계부채가 큰 부담이다. 금리인상은 가계의 이자 부담을 가중시킬 수 밖에 없다. 부동산 경기 하강과 결합될 경우 우리 경제를 파국적인 위기로 몰아가는 폭탄이 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
경제침체가 지속되는 가운데 탄핵 정국에 따른 정국 불안정까지 겹친 우리나라에 미국의 금리인상은 큰 시련을 안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