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삼성 미래전략실 수뇌부 정조준
장충기 사장 이어 최지성 부회장 사무실 압수수색…조직 개편 불가피
삼성의 컨트롤타워 미래전략실을 이끄는 최지성 미래전략실장(부회장)과 장충기 미래전략실 차장(사장)의 사무실이 연달아 검찰 압수수색을 받았다. 미래전략실의 상징과도 같은 두 인물이 최순실 모녀 지원 의혹의 중심으로 떠오르면서 향후 삼성그룹 컨트롤타워 개편 움직임에도 속도가 붙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비선실세 최순실 국정농단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 특별수사본부는 23일 서울 서초동 삼성 서초사옥 미래전략실 최지성 미래전략실장(부회장) 사무실을 전격 압수수색했다. 검찰은 지난 8일과 15일에 이어 이번 압수수색까지 불과 2주 남짓한 기간에 3차례나 삼성에 대한 압수수색을 단행했다.
특히 검찰 칼끝이 최지성 부회장과 장충기 사장을 정확히 지목하고 있다는 점이 눈길을 끈다. 최지성 부회장과 장충기 사장은 모두 미래전략실의 얼굴과도 같은 인물이다. 검찰은 이 두 인물이 최순실 모녀 승마 지원은 물론, 국민연금의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 지원과 관련해서도 연루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검찰은 18일 장충기 사장에 이어 조만간 최지성 부회장 역시 소환 조사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 및 재계에 따르면 이번 수사가 이재용 부회장까지 이어질 가능성은 미지수지만, 최소한 컨트롤타워인 미래전략실 핵심인물들은 수사에서 자유로울 수 없을 것이란 분석이 지배적이다. 삼성그룹 의사결정 구조상 최순실 모녀 지원이 미래전략실을 거치지 않고 이뤄졌을 가능성은 매우 낮기 때문이다. 수사 초창기엔 장충기 사장이 핵심인물로 지목됐으나 그룹 2인자인 최지성 부회장이 부각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이재용 부회장 체제에서 이뤄져왔던 미래전략실 조직 개편 움직임이 더욱 속도를 받을 것으로 보인다. 최순실 사태 이전부터 미래전략실은 이재용 부회장이 등기이사가 되고 향후 삼성전자가 지주회사 체제로 재편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컨트롤타워로서의 기능이 약해질 것으로 전망돼왔다.
2010년 출범한 미래전략실의 전신은 삼성그룹 비서실로서 사실상 이건희 회장 체제를 위한 조직이었으나 이재용 부회장 시대가 열리며 기능이 축소돼 왔다. 그런 와중에 조직 1, 2인자가 모두 수사대상이 되면서 조직 개편이 사실상 불가피한 상황이 됐다.
한편 검찰은 국민연금공단이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에 찬성표를 던진 배경에 최순실 및 청와대 압력이 있었는지를 밝히는데 집중하고 있다. 이 혐의가 밝혀지면 박근혜 대통령과 삼성에 뇌물죄를 적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